•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바이오시밀러 테마 상승기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10 회 2025-07-02

  •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테마는 국내 바이오 산업의 핵심 성장축 중 하나로, 2010년대 초반부터 주기적인 급등기를 겪어왔습니다. 특히 셀트리온을 중심으로 한 ‘K-바이오’ 붐과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수출 본격화, 미국 FDA 및 유럽 EMA의 승인 소식 등 외부 이벤트에 따라 대장주와 주도주의 흐름이 달라졌습니다. 아래에서는 주요 급등기별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 양상을 시기순으로 정리하여 서술하겠습니다.

     

    1. 2014년~2015년 1차 급등기: 셀트리온 램시마 유럽 판매 승인

    배경: 2013년 말~2014년 초,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램시마(Remsima)'가 유럽 EMA의 허가를 획득하고 판매를 개시하면서 국내외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습니다.

     

    대장주: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테마를 처음으로 대중화시킨 선두 기업으로, 램시마 유럽 진출이라는 상징적 성과가 시장을 자극하였습니다.

     

    주도주: 셀트리온제약, 이수앱지스

    셀트리온의 관련 기업인 셀트리온제약과, 소규모지만 희귀질환 바이오시밀러 개발로 주목받은 이수앱지스가 테마 확산의 선봉에 섰습니다.

     

    2. 2017년~2018년 2차 급등기: 셀트리온 코스피 이전상장 + 바이오 열풍

    배경: 셀트리온이 2018년 2월 코스피200에 편입되고, 바이오 업종 전체가 성장주로 조명받는 시기였습니다. 국내외 기관 자금 유입이 대폭 증가하였습니다.

     

    대장주: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코스닥 시절 대비 유동성과 시총이 크게 증가하며 사실상 바이오시밀러의 대명사로 자리잡았습니다.

     

    주도주: 삼성바이오로직스, 한미약품, 에이프로젠

    셀트리온 중심에서 삼성 계열 바이오 위탁생산(CMO)의 성장 기대감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상승을 주도하였고, 한미약품은 기술 수출 이슈와 결합되어 바이오 투자 심리를 이끌었습니다.

     

    3.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전후 급등기: K-바이오 붐 + 글로벌 위기 속 바이오 대안 부각

    배경: 코로나19로 전 세계적으로 제약·바이오 산업이 주목받는 가운데, 바이오시밀러와 관련된 기업들이 백신·치료제·의약품 대안으로 부상하였습니다.

     

    대장주: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삼성은 CMO 수요 확대, 셀트리온은 렉키로나(코로나 항체 치료제) 이슈로 다시 주목받았습니다.

     

    주도주: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알테오젠, 팬젠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상장 직후 기대감과 함께 테마를 이끌었고, 알테오젠은 SC제형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기술로 상승세를 주도하였습니다. 팬젠은 혈액제제 관련 기대감으로 부각되었습니다.

     

    4. 2022년~2023년: 미국·유럽 시장 확대 기대 + 바이오 규제 완화 기대감

    배경: 미국 바이든 정부의 바이오 생산기지 확대 정책, 유럽의 바이오시밀러 수용성 증가, mRNA 기반 기술 확산 등이 바이오 전반에 훈풍을 일으켰습니다.

     

    대장주: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꾸준한 실적 증가와 함께 안정적인 성장주로서의 역할을 재확인하였습니다.

     

    주도주: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에이프로젠, 삼천당제약

    자체 생산설비 및 글로벌 파이프라인 확장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었으며, 삼천당제약은 안과용 바이오시밀러 개발로 새로운 니치시장 주도주로 부각되었습니다.

     

    5. 2024년 말~2025년 초: 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 합병 및 글로벌 M&A 흐름

    배경: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이 완료되면서 지배구조 개편과 실적 통합이 이슈가 되었고, 글로벌 제약사들의 바이오시밀러 인수합병 전략이 가시화되었습니다.

     

    대장주: 셀트리온

    합병에 따른 규모의 경제, 통합 유통망 확대 등이 반영되면서 테마의 중심에 다시 섰습니다.

     

    주도주: 알테오젠, 에이프로젠,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차세대 제형 기술, 희귀질환 대상 시밀러 개발, 미국 FDA 임상 진전 이슈 등으로 높은 주가 변동성과 테마 확산 중심축이 되었습니다.

     

    요약

     

    시기대장주주도주주요 이벤트
    2014~2015셀트리온셀트리온제약, 이수앱지스램시마 유럽 판매 개시
    2017~2018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 한미약품코스피 이전상장, 바이오 열풍
    2020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알테오젠코로나 이슈, 치료제 개발 붐
    2022~2023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삼천당제약, 에이프로젠미국·유럽 수출 확대 기대감
    2024~2025셀트리온알테오젠,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셀트리온 합병, M&A 전략 확산

     

     

    이처럼 바이오시밀러 테마는 특허 만료 일정, 임상 승인 뉴스, 글로벌 진출 이슈, M&A 기대감 등의 이벤트에 따라 순환적으로 급등하며, 그에 따라 대장주와 주도주가 이동하는 특성이 뚜렷한 테마입니다. 셀트리온은 일관된 대장주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소 바이오기업들은 시기별로 주도주의 자리를 번갈아가며 차지하고 있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