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 테마는 2차전지와 전기차 산업의 확산과 함께 여러 차례 상승기를 맞이하였습니다. 특히 글로벌 전기차 수요 급증, 리튬 가격 급등, 공급망 확보 이슈, 미국 IRA법 통과 등의 재료가 반복적으로 이 테마의 강한 랠리를 자극해왔습니다.
이에 따라 시기별로 대장주와 주도주의 흐름도 변화해왔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 상승기와 종목 흐름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2020년 하반기 ~ 2021년 상반기
테마 상승 배경
- 테슬라를 필두로 한 글로벌 전기차 수요 급증
- 배터리 업체 증설 발표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등)
- 리튬 수요 기대감 급등
대장주
- 에코프로: 초기 양극재 성장주로서 강세를 보이며 리튬 테마 전체 상승을 주도함
- 포스코케미칼 (현 포스코퓨처엠): 포스코의 리튬 광산 투자 이슈와 양극재 사업 확대 계획으로 테마 대장 역할 수행
주도주
- 천보: 전해질 첨가제 공급 증가로 동반 급등
- 성일하이텍: 폐배터리 재활용 관심 확대에 따른 동반 수혜
- 새빗켐: 리튬 재활용 기대감 반영으로 시장 주목
2. 2022년 상반기
테마 상승 배경
- 리튬 가격 급등 (탄산리튬 톤당 7만 달러 근접)
- 포스코의 아르헨티나 염호 리튬 프로젝트 진척
- LG에너지솔루션 상장(2022.1)으로 인한 2차전지 전반 재평가
대장주
- 포스코홀딩스: 자회사들을 통한 리튬 수직계열화 기대감과 리튬 염호 투자로 급등, 테마 중심에 위치
- 에코프로비엠: 고성능 양극재 수요 급증 수혜로 상승 주도
주도주
- 하이드로리튬: 리튬 개발 이슈에 따라 급등세
- 유일에너테크, 엔켐: 중소형 소재주로 수급이 몰리며 강한 탄력
3. 2023년 상반기
테마 상승 배경
-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통과로 미국 내 리튬 및 핵심 광물 공급망 확보가 핵심 이슈화
- 중국 리튬 수출 제한 우려 확대
- 폐배터리 리사이클 시장에 대한 투자자 관심 급증
대장주
- 성일하이텍: 코스닥 상장 이후 폐배터리 리사이클 선두 기업으로 급등, 리튬 재활용 대표주로 자리매김
- 새빗켐: 상장 이슈 및 리튬 회수 기대감으로 테마 중심주 부상
주도주
- 대보마그네틱: 리사이클링 공정 장비 관련주로 수급 유입
- 리튬포어스, 광무: 낮은 시총과 리튬 관련 신사업 발표로 급등 테마주 편입
4. 2024년 하반기 ~ 2025년 상반기
테마 상승 배경
- 리튬 가격 조정 이후 바닥 확인 및 반등
- 국내외 리튬 자원 민간 투자 재개
- 폐배터리 수출 제한과 국내 리사이클 확대 기조
대장주
- 포스코퓨처엠: 고성능 양극재 기술 강화와 미국 공장 투자 확대
- LG화학: 양극재, 리튬 수급 계약 확대, GM 등과 배터리 제휴 강화
주도주
- 중앙첨단소재, 하이드로리튬: 수급 기대감 및 리튬 관련 테마 수혜주로 단기 급등
- 후성: 전해질용 소재 불산 수요 확대에 따라 실적 기대감 상승
정리: 시기별 대장주·주도주 변화 흐름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2020~2021 | 에코프로, 포스코케미칼 | 천보, 성일하이텍, 새빗켐 |
2022 상반기 | 포스코홀딩스, 에코프로비엠 | 하이드로리튬, 유일에너테크 |
2023 상반기 | 성일하이텍, 새빗켐 | 대보마그네틱, 리튬포어스 |
2024 하반기~2025 상반기 | 포스코퓨처엠, LG화학 | 중앙첨단소재, 후성 |
이처럼 리튬 테마는 이슈에 따라 상승 파동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각각의 상승기마다 시가총액 대형주(대장주)와 테마성 기대주(주도주)가 분화되어 주도권을 바꾸는 양상을 보입니다. 따라서 테마 흐름을 분석할 때는 전방 산업(전기차), 리튬 가격, 정책 변화, 공급망 이슈 등 복합적 요소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