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부품 테마는 주기적으로 완성차 산업의 호황과 함께 동반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전기차·자율주행 등 미래차 관련 이슈가 부각될 때 강한 테마 장세를 형성하곤 합니다.
아래에서는 주요 급등기 시점별 대장주와 주도주의 변화를 중심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차 급등기: 2020년 하반기 ~ 2021년 상반기 (전기차 열풍 + 유럽 친환경 정책)
배경
- 테슬라를 중심으로 한 전기차 투자 열풍
- 유럽연합(EU)의 탄소중립 정책 확대
- 국내 완성차(현대차·기아) 전기차 아이오닉5, EV6 출시에 따른 부품주 기대감 확산
대장주 및 주도주
- 명신산업: 테슬라향 차체 부품 공급사로 알려지며 시장 주목. 대표 대장주로 자리매김.
- 씨티알모빌리티: 테슬라향 부품 수혜 기대감으로 급등세.
- 유니크: 수소차 및 전기차 관련 부품 기술 부각으로 상승.
- 에스엘: 전장용 램프·조명 공급으로 자율주행 수혜주 부각.
- 한온시스템: 열관리 시스템 공급 기업으로 글로벌 전기차 공급망에 편입되며 주도주 역할.
2차 급등기: 2022년 상반기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확대 전략 + IRA법 통과 전후 이슈)
배경
- 현대차의 미국 현지 전기차 생산 계획 발표
-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이슈로 국내 부품사 미국 수출 기대
- 니켈·리튬 등 원자재 가격 급등 → 2차전지·부품소재주 동반 부각
대장주 및 주도주
- 에코플라스틱: 전기차 내외장재 전문, 현대차그룹 납품 부각으로 대장주 급부상
- 모베이스전자: 카메라 모듈, 전장부품 개발사로 IRA 관련 수혜주로 언급됨
- 에스엘: 다시금 전기차 조명 관련주로 부각, 수급 집중
- 유라테크, 엠에스오토텍: 현대차 전기차 부품 공급사로 수급 유입
3차 급등기: 2023년 상반기 (중국 리오프닝 + 완성차 판매 회복 + IRA 수혜 확산)
배경
-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로 글로벌 부품사 수요 증가
- 국내 완성차 판매 증가 및 수출 회복
- IRA 세부 가이드라인 발표로 미국향 부품업체 수혜주 선별 매수
대장주 및 주도주
- 에코볼트: 배터리팩 및 전기차 부품 확대 계획 발표로 단기 강세
- DH오토웨어: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디지털 클러스터 관련 기술 부각
- 유니온머티리얼: 희토류 및 마그넷 등 전기모터 핵심소재 관련주로 부각
- 대성파인텍: 금속가공 기반으로 수소차, 친환경차 테마 수혜주로 급등
4차 상승기: 2024년 하반기 ~ 2025년 상반기 (현대차그룹 구조개편 기대 + 중동 수출 확대)
배경
- 현대모비스 지배구조 개편 이슈로 협력 부품사 가치 재조명
- 중동, 유럽 수출 증가 → 납품망 확대 기대
- 전기차 원가 절감 → 부품 다변화 및 기술 전환 수혜주 선별
대장주 및 주도주
- 삼보모터스: 글로벌 OEM향 구동부품 수출 확대, 주도주로 급등
- 성우하이텍: 경량화 차체 부품 공급 이슈 부각
- 인팩, 영화금속: 기계부품 전문 중소형주로 기술주 매수세 집중
- 케이피에프, 한국단자: 전기·전장 부품주로 IRA 세부 지침 수혜 기대감 부각
총정리: 주도주의 흐름
시기 | 대장주 | 대표 주도주 | 주요 이슈 |
2020~2021 | 명신산업 | 씨티알모빌리티, 유니크, 에스엘 | 테슬라·전기차 열풍 |
2022 | 에코플라스틱 | 모베이스전자, 유라테크, 엠에스오토텍 | IRA 수혜, 전기차 확대 |
2023 | 에코볼트 | DH오토웨어, 대성파인텍, 유니온머티리얼 | 리오프닝·IRA 구체화 |
2024~2025 | 삼보모터스 | 성우하이텍, 인팩, 케이피에프 | 구조개편, 중동 수출 |
이처럼 자동차부품 테마 내에서는 시장환경과 정책 방향에 따라 대장주가 수시로 교체되며, 특히 전기차·수소차·자율주행과 같은 미래 모빌리티 이슈가 클 때 중소형 기술주 중심의 주도주가 탄생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 트렌드의 방향성과 수급 집중도를 고려해 테마 내 종목을 분류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