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 상승기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10 회 2025-07-01

  •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는 전기차 보급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2020년 이후부터 점진적으로 부각되었으며, 특히 정부의 충전 인프라 확대 정책이나 글로벌 친환경차 확대 모멘텀이 등장할 때마다 급등기를 만들어내곤 했습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급등기 시점과 그 당시의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1차 급등기: 2020년 하반기 (그린뉴딜 정책 발표 및 전기차 확대 기대감)

    배경: 문재인 정부의 ‘그린뉴딜’ 발표,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 본격화. 전기차 113만대 보급 목표와 충전 인프라 확대 예산 반영.

     

    대장주:

    와이엠텍: 고성능 차단기 및 커넥터 부품 공급사로, 시장에서 전기차 필수부품 관련 핵심주로 부각되며 상한가 흐름을 기록.

     

    주도주:

    솔루엠: LG이노텍 전원공급기 사업부 출신으로 IPO 기대감과 함께 충전기 부품 기술로 관심 집중.

    보성파워텍: 한전 관련 전력인프라 구축 업체로서 충전소 설치 기대감 반영.

    그리드위즈: 스마트그리드 및 V2G 시스템 구축 기대감으로 시장 관심.

     

    2차 급등기: 2021년 하반기 (LG에너지솔루션 상장 이슈 및 탄소중립 정책 강화)

    배경: LG에너지솔루션 IPO 기대감, EU와 미국의 탄소중립 선언,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 확대. 전기차 보조금 확대.

     

    대장주:

    신세계 I&C: 신세계 그룹의 유통망을 활용한 충전소 설치 사업 진출 계획 발표로 강세.

    LG유플러스: 전국 단위 통신망과 결합한 충전소 제어 플랫폼 구축 가능성 부각.

     

    주도주:

    모트렉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와 연계된 충전 제어기술 부각.

    알티캐스트: 충전기용 인증·결제 솔루션 기술을 통해 주도주 중 하나로 급부상.

     

    3차 급등기: 2023년 상반기 (IRA법 통과와 함께 미국 인프라 투자 확대)

    배경: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따라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에 대한 직접 지원이 본격화됨. 국내 기업들의 북미 수출 기대감 상승.

     

    대장주:

    와이투솔루션: IRA 수혜 기대감 및 충전기용 통신 모듈 기술력 부각으로 상한가 흐름.

     

    주도주:

    위너스: 충전소 외장 설비와 금속프레임 공급 경험 부각.

    피에스텍: 전력변환 장치 및 충전소용 배전반 기술로 기술적 매수세 유입.

     

    4차 급등기: 2024년 중후반 (현대차그룹 ‘E-pit’ 충전망 확장 및 민간 주유소의 전환 발표)

    배경: 현대차, 기아 등 국내 자동차 기업들이 초고속 충전소(E-pit) 네트워크를 전국으로 확장한다는 계획 발표. SK, 롯데 등 대기업 계열 주유소의 충전소 전환 사업 본격화.

     

    대장주:

    롯데이노베이트: 롯데그룹 주유소 인프라의 전환 중심축으로 부각되며 상한가 흐름.

     

    주도주:

    휴맥스홀딩스: 충전기 플랫폼 및 관련 사업 다각화 이슈로 관심 집중.

    캐리: 전기차 충전기 기술 확보 및 B2B 협력 확대 소식으로 주도주 그룹에 편입.

     

    전반적인 주도주 흐름 변화 요약

     

    시기대장주주도주주요 이슈
    2020 하반기와이엠텍솔루엠, 보성파워텍그린뉴딜 정책
    2021 하반기신세계 I&C모트렉스, 알티캐스트보조금 확대, 탄소중립
    2023 상반기와이투솔루션피에스텍, 위너스IRA 법안, 북미 투자 확대
    2024 중반롯데이노베이트휴맥스홀딩스, 캐리민간 충전소 전환 본격화

     

     

    이처럼 전기차 충전 테마는 정책 모멘텀과 자동차 제조사의 인프라 전략 변화, 글로벌 에너지 정책에 따라 대장주와 주도주가 순환하며 교체되어 왔습니다. 특히 전력기기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면서도 충전 인프라 구축 실적이 있는 기업들이 강한 상승 흐름을 주도해왔습니다.

     

    향후에도 이 테마는 AI기반 스마트충전, 무선충전, ESS 연계 충전소 등 기술 진화 방향에 따라 또다시 새로운 주도주가 출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