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엔젤산업 테마 상승기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12 회 2025-06-27

  • 엔젤산업 테마는 주로 저출산 대책 강화, 정부의 보육 및 육아 정책 발표, 육아용품 관련 트렌드 변화, 키즈 콘텐츠 흥행, 또는 팬데믹 이후 집콕 수요 증가 등과 같은 특정한 이벤트나 정책 변화에 따라 급등 흐름이 나타나는 특성이 있습니다. 특히나 ‘정책 수혜 기대감’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테마주의 형태로 순환 급등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최근 몇 년간의 엔젤산업 테마의 주요 상승기 및 당시 대장주와 주도주 흐름을 시기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1. 2020년 3월~5월: 팬데믹 초기 ‘집콕 육아’ 수혜

    상승 배경: 코로나19로 인한 외출 제한 및 개학 연기, 집콕 육아에 따른 유아용품과 콘텐츠 수요 급증

     

    대장주: 삼성출판사

    ‘아기상어(핑크퐁)’ 관련 콘텐츠 이슈로 급등, 유튜브 조회수 폭발과 미국 시장 진출 기대감 반영

    주도주: 손오공, 캐리소프트, 대원미디어

    유아용 완구 및 애니메이션 콘텐츠 수혜주로 각광

    손오공은 ‘헬로카봇’, 캐리소프트는 ‘캐리와 친구들’ 이슈로 강세

     

    특징: 콘텐츠 기반 종목들이 집콕 키즈 콘텐츠 수요 증가로 주도

     

    2. 2021년 5월~6월: 저출산 대책 발표 및 육아정책 기대감

    상승 배경: 정부의 4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발표, ‘국가책임 출산-육아 정책’ 부각

     

    대장주: 제로투세븐

    아가방, 궁중비책 등 유아용 의류 및 화장품 사업군 보유, 정책 수혜 기대감

    주도주: 꿈비, 메디앙스, 아가방컴퍼니

    유모차, 기저귀, 유아용품 제조 유통기업으로 정책 직접 수혜주로 주목

     

    특징: 정책 수혜주로서 육아용품 위주 종목이 강세, 실적보다는 정책 기대감이 상승 동력

     

    3. 2022년 4월~5월: 대통령 선거 공약 테마 수혜

    상승 배경: 대통령 선거 당시 각 정당이 출산장려 및 육아비 지원 확대 공약을 발표

     

    대장주: SAMG엔터

    애니메이션 IP 기반 캐릭터 산업 확장 기대감 (미국 등 해외 진출 모멘텀)

    주도주: 오로라, 캐리소프트

    유아용 콘텐츠 사업에서 글로벌 확장 이슈로 부각

     

    특징: 콘텐츠 수출, NFT 연계 캐릭터화 전략 등으로 미디어 키즈 주식이 대장 역할 수행

     

    4. 2023년 10월~11월: 저출산 위기 재조명 및 예산 이슈

    상승 배경: 역대 최저 출산율 발표(0.7명대), 정부의 출산정책 대전환 시사

     

    대장주: 꿈비

    유아 가구 매출 증가 및 중국 진출 이슈, 낮은 시총 대비 실적 호조

    주도주: 손오공, 네오팜

    손오공은 완구 기업 중 대표주로 주목, 네오팜은 유아용 화장품 브랜드 ‘제로이드’ 수출 증가로 상승

     

    특징: 전통 육아용품 기업과 건강 제품 기업이 조명을 받으며 순환매 형성

     

    대장주/주도주 교체 흐름 정리

     

    시기대장주주도주주요 이슈
    2020년 3~5월삼성출판사손오공, 캐리소프트팬데믹 집콕육아 콘텐츠 수혜
    2021년 5~6월제로투세븐꿈비, 메디앙스, 아가방컴퍼니저출산 정책 기대감
    2022년 4~5월SAMG엔터오로라, 캐리소프트대통령 선거 공약 및 콘텐츠 글로벌화
    2023년 10~11월꿈비손오공, 네오팜출산율 쇼크, 정부 육아 예산 기대

     

     

    엔젤산업 테마는 정치적 이슈(선거), 정책적 변화(출산장려금, 육아예산), 사회적 흐름(저출산 쇼크, 팬데믹 등)에 따라 강한 단기 급등 흐름을 보이며, 대장주는 콘텐츠 중심 종목(SAMG엔터, 삼성출판사)과 육아용품 중심 종목(제로투세븐, 꿈비)이 교차하며 나타나는 구조를 보여주었습니다.

     

    이 테마의 특성상 대장주 교체는 정책 중심 → 콘텐츠 중심 → 소비재 중심의 흐름으로 반복되며, 낮은 시총 + 정책 기대감 + 실적 서프라이즈가 결합되는 종목이 단기 급등 대장 역할을 수행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