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철강 중소형 테마 급등기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13 회 2025-06-30

  • 철강 중소형 테마는 철강 시황과 글로벌 원자재 동향, 국내 건설 경기, 그리고 중국의 감산 정책 등에 따라 단기 급등이 반복적으로 발생해왔습니다. 특히 시가총액이 작고 유통 주식이 적은 종목들이 많기 때문에 테마성 매수세가 몰리면 급등 흐름이 강하게 전개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아래는 주요 급등기 시점과 당시 대장주 및 주도주의 흐름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차 급등기: 2016년 하반기 – 중국 감산 수혜 기대

    배경

    중국 정부의 철강 감산 정책과 환경규제 강화

    철강 가격의 반등 및 원자재 가격 상승

    국내 건설 수주 증가 및 SOC 투자 기대

     

    대장주

    문배철강: 철근 가격 급등 수혜 기대감에 선도주 역할

    동국산업: 컬러강판 매출 성장과 더불어 실적 호조 부각

     

    주도주 흐름

    휴스틸, 동양철관: 강관 수요 증가에 따라 테마 내 수급 집중

    만호제강, 부국철강: 철근 수요 회복 기대감

     

    2차 급등기: 2020년 하반기 ~ 2021년 상반기 – 코로나 회복 및 원자재 슈퍼사이클 기대

    배경

    글로벌 경기 부양책 확대 및 인프라 투자 기대

    철광석, 석탄 등 원자재 가격 폭등 → 철강 가격 연동 상승

    코로나19 이후 리오프닝에 따른 건설·기계 수요 회복

     

    대장주

    아주스틸: 컬러강판 매출 급증과 IPO 기대감으로 상한가 랠리

    경남스틸: 건설강재 수요 폭증 기대와 함께 시장 주목

    한국주철관: 배관용 철강재 및 상하수도 인프라 관련주로 부각

     

    주도주 흐름

    동양철관, 휴스틸, 하이스틸: 유가 상승 → 송유관 교체 수요 기대

    영흥, 동일산업: 봉강·철근류 수요 확대 기대

     

    3차 급등기: 2022년 3~5월 – 우크라이나 전쟁 및 원자재 공급 불안

    배경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철광석·석탄·니켈 등 공급 차질

    글로벌 물류망 위기 → 국내 철강 내수 공급업체 재조명

    원자재 가격 폭등에 따른 철강 단가 인상

     

    대장주

    NI스틸: 구조재 수요 증가 및 건설 연계 테마주로 강세

    TCC스틸: 2차전지 패키징용 강판 관련 모멘텀 부각

     

    주도주 흐름

    동양에스텍, 금강철강, 대호특수강: 철강 수요 확대 기대

    대동스틸, 대창스틸: 실적 호조 및 재고 평가 이익 반영

     

    4차 급등기: 2023년 하반기 ~ 2024년 초 – 구조적 공급부족 및 미중 갈등 심화

    배경

    중국 철강 생산 감축 지속 및 경기 둔화 대응책으로 공급 축소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으로 국내 제조업 투자 확대

    원자재 수입비용 상승에 따른 철강 원가 전가

     

    대장주

    SK오션플랜트: 해양플랜트 관련 모멘텀과 조선업 회복 수혜

    금강공업: 수소배관, 풍력타워 등 신재생 관련 철강재 납품 부각

     

    주도주 흐름

    동국산업, 부국철강: 고부가 철강재 수요 증가에 따른 실적 기대

    율촌, 유에스티: 고온·고압 환경용 강관 생산 확대 이슈로 상승

     

    정리 요약

     

    급등 시기주요 배경대장주주도주
    2016 하반기中 감산 정책, 철강가격 반등문배철강, 동국산업휴스틸, 동양철관, 만호제강
    2020~2021글로벌 부양책, 원자재 슈퍼사이클아주스틸, 경남스틸, 한국주철관휴스틸, 하이스틸, 동일산업
    2022 상반기우크라이나 전쟁, 공급망 위기NI스틸, TCC스틸금강철강, 대호특수강, 대동스틸
    2023 하반기구조적 공급부족, IRA 수혜SK오션플랜트, 금강공업동국산업, 율촌, 유에스티

     

     

    이처럼 철강 중소형 테마는 글로벌 원자재 가격, 정책, 건설·조선업 경기,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라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는 순환 테마라고 할 수 있습니다. 투자 시에는 철강재의 종류별 수요 전망과 기업의 제품 특성, 그리고 재무 건전성 및 모멘텀 이슈(예: 신사업, M&A, 수출 확대) 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