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 테마는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와 세포치료제(CAR-T, NK세포)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며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꾸준한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직후(2020~2021년)에는 바이오테크 산업 전반에 대한 투자 열풍이 일면서 이 테마 또한 급등기를 겪게 되었으며, 주도주와 대장주가 시기별로 변화하였습니다. 다음은 그에 대한 시기별 정리입니다.
1차 급등기 (2016년 ~ 2018년) – 면역항암제 테마 부각 초기
배경:
글로벌 제약사 MSD의 ‘키트루다’, BMS의 ‘옵디보’가 FDA 승인을 받고 상업적 성과를 거두자, 국내에서도 면역항암제를 개발하는 바이오기업에 관심이 급속히 높아지기 시작한 시기입니다.
대장주 / 주도주:
신라젠 : 대표 파이프라인인 '펙사벡(Pexa-Vec)'이 간암 대상으로 글로벌 임상 3상에 진입하면서 바이오 대장주 반열에 올랐습니다.
제넥신 : DNA백신 기반 항암제 개발로 시장에서 기대를 모았고, 기술이전 기대감으로 수차례 급등.
메드팩토 : TGF-β 억제제 개발로 신라젠과 함께 ‘포스트 키트루다’ 후보로 주목.
이 시기에는 주로 간암, 폐암, 피부암 대상 면역항암제를 개발하던 회사들이 주도권을 가졌습니다.
2차 급등기 (2020년 ~ 2021년 상반기) – 코로나19 팬데믹과 바이오 버블
배경:
코로나19로 인해 바이오 전반에 대한 관심이 정점에 달하면서, 항암제뿐 아니라 면역 시스템에 기반한 치료제 개발 기업 전반이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임상 진입 기업들이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대장주 / 주도주:
박셀바이오 : NK세포 기반 면역항암치료제 개발, 소수주였던 종목이 상장 직후 폭등하며 단숨에 테마 대장주로 부상.
셀리드 : 백신 플랫폼 기반 면역항암제 및 코로나 백신 기대감이 함께 작용하며 급등.
유틸렉스 : CAR-T, TCR-T 등 고도 면역치료 기술 기반으로 관련 특허와 임상 뉴스에 따라 주도주 전환.
에이비엘바이오 : 이중항체 기술과 글로벌 기술이전 소식이 이어지며 주도주 등극.
이 시기에는 이중항체 기반 기술, 세포치료제 (특히 NK, T세포 기반), 글로벌 기술이전 기대감이 주가를 견인하는 핵심 동력이었습니다.
조정기 및 모멘텀 부재기 (2022년 ~ 2023년 상반기)
배경:
글로벌 금리 인상 및 고평가된 바이오주의 조정이 진행되면서 면역항암제 테마도 전반적인 하락세에 들어섰습니다.
임상 실패나 지연, 기술이전 무산 등의 이슈로 개별 종목 리스크가 현실화되었으며, 대장주가 부각되기 어려운 시장 환경이 지속되었습니다.
최근 회복 움직임 (2023년 하반기 ~ 현재까지)
배경:
국내 기업들이 미국, 유럽 등에서 임상 진전을 보이고 있음
미국 바이오기업들이 다시 인수합병(M&A) 시장에 등장하면서 기술 수출 가능성 확대
mRNA, 이중항체, 면역세포치료 등 고도화된 기술 기반 종목에 대한 선별적 투자 시작
주도주 변화:
지아이이노베이션 : 이중융합단백질 기반 면역항암제 후보가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이전되며 주목
에이비엘바이오 :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등에서 성과 발표 후 다시 수급 유입
큐리언트, 메드팩토 : 글로벌 임상 진전 뉴스에 따라 단기 상승 반복
HLB 그룹주 (이뮤노믹 등) : 기술 수출 및 미국 임상 모멘텀으로 부각
최근에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임상 파이프라인 가시성, 글로벌 빅파마와의 제휴 성과, 세포치료제 대체 가능성 등이 주가 모멘텀의 핵심입니다.
시기 | 대장주 | 특징 |
2016~2018 | 신라젠, 제넥신 | 면역관문억제제 임상 초기, 대형 기대감 중심 |
2020~2021 | 박셀바이오, 셀리드, 유틸렉스, 에이비엘바이오 | 세포치료제+이중항체+코로나 특수 효과 |
2022 | 대장주 부재 | 금리상승+임상 불확실성 리스크 확대 |
2023~현재 | 지아이이노베이션, HLB그룹주, 메드팩토, 큐리언트 | 글로벌 기술이전 및 임상 결과 기대감 회복 |
면역항암제 테마는 기술 및 임상 성과가 가장 강력한 주가 모멘텀으로 작용하는 테마이며, 임상 진입 → 결과 발표 → 기술이전 → 상업화의 흐름에 따라 대장주와 주도주가 빠르게 교체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