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전력저장장치(ESS) 테마와 관련 종목들

    작은연못 9 회 2025-07-01

  • 

    전력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테마는 재생에너지 확산과 전력 수요 관리, 전력 효율 극대화 등의 배경 속에서 급부상한 산업입니다. 이 테마에 속한 종목들은 에너지 저장에 필요한 핵심 부품이나 시스템을 제조하거나, 이를 활용한 인프라를 구축·운영하는 기업들입니다. 아래에서는 먼저 전력저장장치(ESS) 산업에 대한 설명을 하고, 이어서 주요 관련 종목들의 테마 연관성을 정리하겠습니다.

     

    1. 전력저장장치(ESS) 테마란?

    전력저장장치(ESS)는 전기를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한 시점에 방전하여 사용하는 장치로, 특히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등)의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낮 동안 발전된 태양광 전기를 저장해 두었다가 밤에 사용하는 식입니다.

     

    ESS는 주로 다음과 같은 구조로 구성됩니다:

    배터리(전지): 전력을 저장하는 핵심 장치 (리튬이온배터리, 전고체배터리 등)

    PCS (전력변환장치): 직류(DC)를 교류(AC)로 바꾸고, 그 반대도 가능하게 하는 장비

    BMS (배터리관리시스템): 배터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관리하는 시스템

    EMS (에너지관리시스템): 전체 시스템의 작동과 운용을 최적화

    국내외적으로 탄소중립 정책과 재생에너지 확대 기조가 강화되면서 ESS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관련 종목들의 테마 연관성

    아래는 ESS 테마 관련 종목들을 기능·역할에 따라 분류한 것입니다:

     

    ① 배터리 셀/모듈 제조업체

    이들은 ESS에서 핵심 부품인 리튬이온 전지를 제조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 글로벌 배터리 셀 제조 선두주자. ESS용 배터리도 공급.

    삼성SDI: 고출력 ESS 전지 공급.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셀 생산. ESS용 배터리 비중 확대 중.

    금양그린파워: 차세대 전지 소재 및 ESS용 배터리 개발.

    세방전지: 전통적인 납축전지 중심이나 ESS용 이차전지도 개발 중.

     

    ② 배터리 소재/부품 공급사

    ESS 배터리의 부품 및 소재를 공급하는 업체들입니다.

    피엔티: 이차전지 제조 장비 기업. 전극 공정 장비 납품.

    아모그린텍: ESS용 연자성 소재, 방열소재 등을 개발.

    상아프론테크: 이차전지 분리막 및 세라믹 코팅 기술 보유.

    이랜텍: 배터리팩, 모듈 설계 및 조립.

    씨아이에스: 배터리 셀 제조 장비 공급.

    와엠텍, 유일에너테크: 배터리팩 및 ESS용 모듈 부품.

     

    ③ 전력변환장치(PCS) 및 시스템 통합

    ESS의 에너지 흐름을 관리하고, 실질적인 전력 인프라를 구성하는 역할입니다.

    LS ELECTRIC: 국내 PCS 시장 점유율 1위. EMS 시스템까지 자체 구축.

    포스코DX: 에너지 관리 솔루션 제공. 대규모 ESS 운영 시스템 구축.

    알에스오토메이션: PCS 및 산업용 인버터 전문.

    파워로직스: ESS용 BMS 공급.

    지투파워: 전력변환장치 및 전력기기 특화.

     

    ④ 태양광/신재생에너지 연계 ESS 시스템 구축

    신재생 발전과 연계한 ESS 설치 사업을 병행하는 업체입니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 태양광 패널 제조 중심. ESS 연계 발전소 설계.

    한전산업, 한중엔시에스: 에너지관리 및 발전설비 유지보수. ESS 시장 진출 중.

    신성이엔지, 신성에스티: 태양광+ESS 통합 솔루션 공급.

    유니테크노, 엠플러스: ESS용 전기장비 및 제어 장치 납품.

     

    ⑤ 기타 부품 및 장치 기업

    ESS와 간접적으로 연관된 부품 및 장비를 제공하는 기업들입니다.

    삼화콘덴서, 삼화전기: 고전압용 콘덴서로 ESS 회로 구성에 활용.

    서진시스템, 삼진엘앤디: ESS 및 배터리 보호용 하우징·케이스 부품.

    비츠로셀: 장기저장용 1차전지. 일부 ESS 백업용 사용.

    디케이티, 디와이덕양, 케이이엠텍: 각종 전장·전자 부품 납품.

     

    ⑥ AI/그리드 기술 기업

    ESS 운영 효율화 및 스마트그리드 연계 기술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그리드위즈: AI 기반 전력 예측 및 수요반응(DR) + ESS 운영 플랫폼.

    캐리: 전력 플랫폼 및 모빌리티 연계 에너지 시스템 개발.

     

    전력저장장치(ESS)는 단순히 전기를 저장하는 것을 넘어서, 국가 전력망 안정화와 재생에너지 확대에 필수적인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셀·모듈 제조부터 PCS, EMS, 배터리 관리 시스템, 소재 공급, AI 연계까지 산업의 저변이 매우 넓습니다.

     

    정부의 RE100 정책, 전력요금 피크제 대응, 그리고 글로벌 전기차 생산 확대 등 다양한 요인들이 이 테마를 중장기적으로 유망하게 만들고 있으며, 관련 기업들의 기술 고도화 및 수주 확대가 주가의 직접적인 트리거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