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자원개발 테마 상승기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11 회 2025-06-30

  • 자원개발 테마주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기나 공급망 위기, 지정학적 충돌 시기 등에 급등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아래에서는 과거 주요 자원개발 테마 급등기 시점을 중심으로 대장주와 주도주의 변화를 시기별로 정리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1. 2008년 글로벌 원자재 슈퍼사이클 시기

    시기: 2007년 하반기 ~ 2008년 상반기

    이 시기는 중국의 산업화와 BRICs 국가들의 자원 수요 폭증으로 인해 유가와 금속 가격이 급등한 시기였습니다.

     

    대장주:

    SK이노베이션(당시 SK에너지): 국제 유가 급등에 따라 정유 마진이 극대화되면서 시장을 선도했습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구 대우인터내셔널): 미얀마 가스전 기대감과 철광석 수입사업 확대에 따라 급등.

     

    주도주:

    LX인터내셔널(구 LG상사): 석탄, 구리 등 광물 수입 기반 무역 증가로 인한 수혜

    GS글로벌(구 LG상사 자회사): 원자재 무역 확대 및 해외 자원 확보 사업 부각

     

    2. 2011년 아랍의 봄 & 유가 급등기

    시기: 2010년 말 ~ 2011년 중반

    중동·북아프리카 정세 불안으로 인해 유가가 다시 급등하였으며, 자원 안보 문제가 부각되었습니다.

     

    대장주:

    한국가스공사: 천연가스 수입단가 급등에 따라 공급가격 인상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

    포스코인터내셔널: 가스전 사업이 안정화 단계에 들어서며 실적 기대감이 부각됨

     

    주도주:

    GS글로벌: 석유화학 원재료 수입과 석탄 무역 확대 기대

    LX인터내셔널: 석탄 가격 급등에 따른 트레이딩 수익 증가로 주도

     

    3.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공급망 위기와 인플레이션 대응 시기

    시기: 2021년 하반기 ~ 2022년 상반기

    코로나19로 위축됐던 공급이 회복되지 못한 상황에서 수요가 폭증하고,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더해지며 원자재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대장주:

    포스코인터내셔널: 미얀마 가스전 수익 확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천연가스 대체 수요 부각

    LX인터내셔널: 니켈, 석탄 광산 확보 사업 본격화로 실적 성장

     

    주도주:

    GS글로벌: 원자재 수입 및 유통 수요 증가

    큐로홀딩스: 자원개발 테마주로 묶이면서 단기 급등

    비엘팜텍: 본업과 무관하지만 희귀자원 관련 루머에 따라 테마성 급등

     

    4. 2024년 후반 ~ 2025년 상반기: 중동 불안정과 공급망 재편 우려

    시기: 2024년 10월 ~ 2025년 3월

    하마스-이스라엘 전쟁, 홍해 해상물류 차질, OPEC 감산, 중국 희토류 수출 규제 등 복합 위기로 인해 자원 확보 우려가 고조됨

     

    대장주:

    포스코인터내셔널: 안정적인 자원 채굴과 공급망 구축 능력이 시장에서 부각

    한국가스공사: LNG 가격 상승 기대와 정부의 에너지 안보 정책 수혜주로 평가

     

    주도주:

    에스아이리소스: 희귀금속 및 광물 관련 이슈로 단기 급등

    엘컴텍, 큐로홀딩스: 테마성 재료 부각으로 기술적 매매세가 몰리며 급등세 연출

     

    정리: 대장주·주도주 변화의 흐름

    시기대장주주도주비고
    2008년SK이노베이션, 포스코인터내셔널LX인터내셔널, GS글로벌원유·철광석 급등
    2011년한국가스공사GS글로벌, LX인터내셔널중동 리스크 유가 급등
    2022년포스코인터내셔널, LX인터내셔널큐로홀딩스, 비엘팜텍인플레이션 수혜
    2025년포스코인터내셔널, 한국가스공사에스아이리소스, 큐로홀딩스지정학 리스크 확산

     

    이처럼 자원개발 테마는 국제 정세나 자원 가격, 에너지 정책 변화에 따라 단기적 급등을 보이면서도 대장주와 주도주가 시기별로 변화하는 특징을 갖습니다. 대장주는 대체로 실질적인 자원 확보 및 개발 능력을 보유한 기업이 맡으며, 주도주는 시장 기대감 또는 재료성 이슈에 의해 단기 급등하는 종목들이 번갈아 가며 부각되곤 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