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시스템통합(SI) 테마 급등기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9 회 2025-07-01

  • 시스템통합(SI) 테마는 경기 순환과 정부 정책, 디지털 전환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특히 공공기관 IT 예산 확대나 대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수요가 증가하는 시점에서 주가가 단기 급등하는 흐름을 자주 보여주었습니다. 다음은 과거 주요 급등기 시점과 그에 따른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를 시기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차 급등기: 2020년 상반기 — 디지털뉴딜 정책 발표 수혜

    배경: 2020년 7월 정부가 ‘디지털 뉴딜’을 국정 어젠다로 본격 추진하며, 공공기관 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AI·데이터 기반 행정 확대 등이 발표됨

     

    대장주: 아이티센

    정부 사업 수주에 대한 기대감과 클라우드 기반 공공SI 확대 기대

     

    주도주:

    데이타솔루션: 데이터 댐 정책 수혜 기대감에 급등

    SGA솔루션즈, SGA: 공공기관 사이버 보안 수요 증가로 함께 부각

    비트컴퓨터: 원격의료 시범사업과 헬스케어 SI 수혜주로 언급되며 강세

     

    2차 급등기: 2021년 하반기 — 클라우드 전환 및 민간 디지털 전환 수요 확대

    배경: 코로나19 이후 대기업과 금융기관의 비대면 시스템 수요 폭증. 공공 클라우드 전환 로드맵 구체화

     

    대장주: LG CNS (비상장이나 그룹 내 통합 수혜주로 테마 견인)

     

    주도주:

    포스코ICT(현 포스코DX): 스마트팩토리 사업 확대 수혜

    나무기술: 클라우드 플랫폼 시장에서 경쟁력 부각

    현대오토에버: 차량용 SW 플랫폼과 스마트공장 시스템 수주 기대감

    신세계 I&C: 유통 업종 디지털화 추진의 대표 수혜주로 급등

     

    3차 급등기: 2022년 말 ~ 2023년 초 — 정부 클라우드 전면 전환 및 스마트시티 구축 기대감

    배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도 공공기관 100% 클라우드 전환 정책 발표, 스마트시티 예산 대폭 확대

     

    대장주: 다우기술

    금융·공공 시스템 수주 기대감에 수급 집중

     

    주도주:

    오파스넷, 링네트: 네트워크 및 보안 인프라 구축 수혜 기대

    정원엔시스, 에스트래픽: 지방자치단체, 교통 SI 시스템 수주 증가로 관심 집중

    케이씨에스: 철도·공공 SI 사업 관련 기대감

     

    4차 급등기: 2024년 중반 — 인공지능 연계 SI 재조명

    배경: AI 기반 정부행정 시스템 구축 추진, 금융권 AI 도입 확산, 클라우드+AI 통합서비스 강화

     

    대장주: 한화시스템

    국방 AI, 위성 기반 데이터 플랫폼 등 국가 프로젝트 중심 수혜주

     

    주도주:

    데이타솔루션: AI 모델링 기반 SI 프로젝트 확대

    SGA솔루션즈: AI 보안 통합 솔루션 제공사로 시장 재부각

    현대오토에버: 차량용 AI 서비스 고도화 사업 기대감으로 꾸준한 상승

     

    요약: 시기별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

    시기주요 이슈대장주주도주
    2020 상반기디지털뉴딜 발표아이티센데이타솔루션, SGA솔루션즈, 비트컴퓨터
    2021 하반기민간 디지털 전환 확대LG CNS(비상장)포스코DX, 나무기술, 현대오토에버
    2022 말~2023 초공공 클라우드 전면 전환다우기술오파스넷, 링네트, 정원엔시스
    2024 중반AI 융합 SI 붐한화시스템데이타솔루션, 현대오토에버, SGA솔루션즈

     

     

    이처럼 시스템통합(SI) 테마는 정책 방향, 기술 트렌드, 산업 수요의 변화에 따라 순환적으로 주도주가 교체되어 왔습니다. 대형 그룹 계열사들이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는 반면, 중소형 SI 기업은 단기 수주 모멘텀과 정책 테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징을 보이므로 각각의 흐름을 따로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