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영화 테마 히스토리/ 상승기 대장주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19 회 2025-07-11

  • 

    영화 테마주의 상승기는 일반적으로 대작 영화의 흥행 기대, 관객 수 회복, 정부의 콘텐츠 산업 지원 정책, 그리고 OTT 산업 성장과의 연계성 등에 따라 발생합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전후의 극장 산업 회복, 국내외 영화제 수상, 기생충·오징어게임 등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 인기가 주요 촉매제가 되었으며, 이 시기마다 대장주와 주도주 역시 변화해왔습니다.

     

    다음은 영화 테마의 대표적 상승기별 흐름과 대장주·주도주 변화에 대한 정리입니다.

     

    1차 상승기: 2019년 초~2020년 초 - ‘기생충’의 흥행과 수상

    • 배경: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2019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 2020년 아카데미 4관왕으로 이어지며 국내외 흥행 돌풍
    • 시장 반응: 영화 산업이 문화 콘텐츠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었다는 인식 강화

     

    대장주:

    • 바른손이앤에이: '기생충' 제작사로, 실제 수익보다는 투자 심리에 기반하여 급등세를 연출하며 대장주의 역할을 함

     

    주도주:

    • 바른손: 지주사 성격으로 연계 수혜주로 분류되며 함께 급등
    • CJ ENM: 영화 투자 및 배급, 엔터 콘텐츠 전반에 걸친 기대감으로 테마의 중심에서 안정적 상승
    • 쇼박스, NEW: ‘콘텐츠 배급사’라는 공통점으로 수급이 유입되며 테마 강세를 견인

     

    코로나19 팬데믹기: 2020년 3월 ~ 2021년 상반기

    • 배경: 극장 폐쇄 및 관객수 급감, 영화 제작 중단 등 전반적인 산업 침체
    • 시장 반응: 관련 종목 대부분 급락, 일부 OTT 수혜주만 관심 유지

     

    2차 상승기: 2021년 하반기 ~ 2022년 중반 - 영화관 정상화 기대

    • 배경: 위드 코로나 국면 진입, 관객 수 회복 기대감과 함께 대작 영화들의 개봉 재개 (예: ‘범죄도시2’, ‘한산’, ‘공조2’ 등)
    • 시장 반응: 테마 전체의 리오픈 수혜주로서 주목, 특히 영화관과 투자·배급사 중심으로 수급이 집중

     

    대장주:

    • CJ CGV: 리오프닝 대표 수혜주로서 외국인 및 기관 수급 유입, 거래량 급증과 함께 테마의 대장주로 부상

     

    주도주:

    • NEW: 흥행 영화 다수 배급, 리오프닝과 함께 실적 회복 기대감이 부각되며 강세
    • CJ ENM: 안정적인 콘텐츠 포트폴리오 보유 기업으로서 실적 기반 상승
    • 콘텐트리중앙: ‘메가박스’ 운영사로서 CJ CGV 다음 가는 상영관 사업자 → 수혜주로 부각
    • 덱스터: ‘신과함께’, ‘승리호’ 등 영화·드라마 CG/VFX 기술력 보유로 콘텐츠 확대 기대감 반영

     

    3차 상승기: 2023년~2024년 - 콘텐츠 수출과 IP 확장 기대

    • 배경: K-콘텐츠의 글로벌 확산, 넷플릭스·디즈니+ 등과의 공동제작 강화, IP 기반 확장(웹툰 → 드라마/영화)
    • 시장 반응: OTT 연계 콘텐츠 제작사, 후반작업 전문 기업 중심의 수급 유입

     

    대장주:

    • 덱스터: 글로벌 OTT와의 협업, CG 기술력 부각되며 영화-OTT 테마 양쪽에서 수급이 유입되어 테마 대장주화

     

    주도주:

    • 포바이포: 후반작업 및 메타버스 콘텐츠 기술 부각되며 급등
    • 아센디오: BTS 다큐 콘텐츠 제작과 영화·드라마 투자 확대 기대감으로 수급
    • 쇼박스: 흥행 영화 콘텐츠 확보 및 리메이크·OTT 유통 모델 확대로 관심

     

    대장주·주도주 변화 흐름 요약

    시기대장주주도주
    2019~2020 (‘기생충’)바른손이앤에이바른손, CJ ENM, NEW
    2021~2022 (리오프닝)CJ CGVNEW, 콘텐트리중앙, CJ ENM, 덱스터
    2023~2024 (OTT 콘텐츠 수출)덱스터포바이포, 아센디오, 쇼박스

     

    이처럼 영화 테마주는 영화 산업 내 특정 기업의 수익성보다 투자 심리와 트렌드 기대감에 강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에도 대작 영화 개봉 일정, 글로벌 OTT와의 협업 뉴스, 한국 영화의 국제 수상 소식 등이 테마의 상승기를 이끄는 주요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