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테마는 기존의 현금 기반 거래 시스템에서 디지털 기반의 결제와 화폐 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형성된 산업군입니다. 이 테마는 디지털화된 금융 생태계, 화폐 유통 자동화, 그리고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금융기관뿐 아니라 공공기관의 디지털 전환 움직임과도 관련이 깊습니다.
이 영역 테마 개념의 세 가지 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디지털화폐 관련 기술 및 인프라
블록체인 기반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시스템 개발
보안 인증, 전자서명, 디지털 ID 시스템 등 금융보안 기술
2. 화폐 자동화기기(H/W) 제조 및 유지보수
ATM, 현금 입출금기, 동전 교환기, 무인 키오스크 등 금융 자동화 기기 제작 및 운영
금융기관, 우체국, 지자체 등에 납품되는 화폐관리 하드웨어
3. 결제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QR코드 결제, NFC, 간편결제 앱, POS 등 결제 인프라 구축
디지털화폐를 통합·호환할 수 있는 API 및 솔루션 개발
관련 종목들을 살펴보면...
1. 카카오페이
대표적인 간편결제 서비스 기업으로, 카카오톡 기반의 QR결제, 송금, 청구서, 인증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음. 디지털화폐 사용 확산 시 카카오페이의 인프라가 활용될 가능성이 커 관련 테마에 포함됨.
2. 풍산
동전 제조 전문 기업으로, 한국은행에 동전 등을 납품해왔음. CBDC가 확산되면 오히려 위축될 수 있으나, 현재는 ‘화폐’라는 키워드에 걸려 테마주로 엮임.
3. 푸른기술
무인화 시스템, 자동 개찰기, 무인정산기 등 화폐 자동화기기 제작 전문 기업. 철도, 지하철, 주차장 등 다양한 곳에 출입관리 및 요금 징수 시스템 납품. 디지털화폐 기반 결제 인프라로 확장 가능.
4. NICE인프라
ATM을 포함한 금융자동화기기 사업을 전개하며, 기기 설치 및 유지보수 수행. NICE그룹 계열사로, 디지털 결제 시스템 확대에 따른 수혜 가능성.
5. 한네트
ATM 및 현금자동화기기 운영 전문 기업. 지방은행 및 소형 금융기관 중심으로 기기 운영 대행. 디지털화폐와 ATM 통합 솔루션 영역으로의 확장 가능성.
6. 케이씨티(KCT)
POS 단말기, 무인 키오스크, 교통카드 단말기 등 결제 관련 단말기를 제조. 한국도로공사, 철도공사 등에 납품 중. 디지털화폐 인프라의 말단 터미널 역할로 주목.
7. 로지시스
금융 자동화기기(입출금기, 수표처리기 등) 제조 기업. 주 고객은 은행 및 공공기관으로, 디지털화폐 인프라 구축 시 기기 리뉴얼 수요 예상.
8. 프리엠스
스마트카드 리더기 및 지문인식 기반 인증기기 개발. 디지털 ID, 전자서명, 결제 보안 기술과 관련되어 디지털화폐의 기술 인프라 분야에서 역할 가능성.
9. 케이씨에스(KCS)
ATM 기기, 보안 단말기, 교통카드 리더기 등 다양한 금융 및 교통 결제 시스템 제조. CBDC 기반 결제 구조 전환에 하드웨어로 대응할 수 있음.
10. 누리플렉스
스마트미터링, IoT 기반 계량시스템에서 출발했으나, 최근 블록체인 기반 전자지갑, 디지털 전자계약, 에너지코인 결제 시스템 등 디지털화폐 기술로 영역 확장. 소프트웨어 기반의 디지털화폐 수혜주로 분류됨.
이 테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양 측면에서 디지털 경제 전환의 중간 지점에 있는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특히 한국은행을 포함한 각국 중앙은행이 CBDC 발행 실험을 본격화함에 따라 이러한 인프라 기업들이 향후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시장에서 테마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향후 디지털화폐가 실제로 상용화되면, 현금 기반의 거래가 줄어드는 대신, 보안·인증 기술, 디지털 단말기, 전자지갑 플랫폼이 급속히 확대될 것이며, 이 테마에 포함된 기업들은 그러한 전환기에 기반 인프라 제공자로서 주목을 받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