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비철금속 테마 히스토리/ 상승기 대장주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18 회 2025-07-15

  • 

    비철금속 테마는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 산업 수요 증가, 친환경 경량화 흐름, 전기차 및 인프라 투자 확대와 같은 외생 변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부각되는 테마입니다. 이 테마의 상승기는 국제 상품시장(LME)에서 구리, 아연, 알루미늄 등의 가격 급등기와 밀접하게 연동되어 있으며, 국내외 수급 이슈나 중국 경기부양책 등도 강력한 자극제가 됩니다.

     

    아래에서는 주요 상승기 시점별 흐름, 그리고 당시 대장주와 주도주의 변화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비철금속 테마 주요 상승기 흐름 및 대장주 변화

    시기주요 배경대장주 및 주도주
    2016년 하반기 ~ 2017년 초중국의 산업재 투자 확대, 트럼프 인프라 투자 공약, 원자재 가격 상승

    고려아연: 아연 가격 급등에 따른 실적 기대감

    풍산: 구리 가격 상승, 방산 매출 증가와 겹쳐 상승

    남선알미늄: 알루미늄 관련주로 개별 재료 수급

    2020년 하반기 ~ 2021년 상반기팬데믹 후 경기부양책 → 인프라 투자 확대, 구리·알루미늄·아연 가격 동반 급등

    고려아연, 영풍: 실적주이자 수급주로서 선도

    포스코엠텍, 피제이메탈: 알루미늄 테마 확장 수혜

    조일알미늄, 알루코: 급등기에는 저가 알루미늄 테마주로 단기 주도주 전환

    2022년 초반 ~ 상반기니켈·구리 등 원자재 가격 폭등, 러-우 전쟁 및 공급망 차질

    풍산: 구리 가격 급등 → 방산+소재 복합재료 수혜

    한주라이트메탈: 마그네슘 경량화 소재 부각

    삼아알미늄: 알루미늄 포장재와 친환경 테마 결합

    2024년 하반기 ~ 2025년 상반기전기차·풍력·태양광 등의 친환경 산업 수요 증가, 美 IRA법에 따른 금속소재 리쇼어링 흐름

    알루코, 조일알미늄: 경량화 핵심 테마로 수급 쏠림

    티플렉스, 피제이메탈: 특수금속/재생금속 이슈 부각

    국일신동, 대창: 황동 및 동 합금 테마주로 단기 주도

     

    주도주 변화의 특징 정리

    경기 회복형 상승기에는

    실적 기반의 고려아연, 풍산, 영풍 등이 대장주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들은 글로벌 금속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실적이 연동되기 때문입니다.

     

    투기적 원자재 랠리 시점에는

    저가 중소형주인 조일알미늄, 알루코, 국일신동, 남선알미늄 등이

    수급 기반의 단기 주도주로 떠오릅니다.

    테마성 급등이 빠르게 나타나며, 세력 수급과 뉴스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친환경·전기차 소재 부각 시기에는

    삼아알미늄, 한주라이트메탈, 티플렉스 등

    경량화·재활용 가능 소재 제조업체가 주목받습니다.

     

    지주사/지분 관계 이슈 발생 시

    풍산홀딩스, 영풍, 알멕 등 지주사 또는 자회사 구조 종목이

    간접적인 수혜 종목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비철금속 테마는 글로벌 경기 회복, 원자재 가격 급등, ESG 산업 트렌드에 따라 반복적으로 상승장을 맞이합니다.

     

    실적주 → 수급주 → 테마주의 순서로 주도주가 교체되며,

    초기 상승기에는 실적 기반 대형주, 중후반에는 급등 테마주 중심의 중소형주가 시장 주도주가 됩니다.

     

    수급과 모멘텀이 가장 중요한 단기 시세 국면에서는,

    실적보다는 테마성 기대감과 시세 분출력이 높은 종목들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