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급격한 관심을 받으며 강한 상승세를 보였고, 이후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대장주와 주도주의 위치도 일부 바뀌어 왔습니다. 아래에서 시기별 흐름에 따른 주요 종목의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를 설명드리겠습니다.
1차 상승기: 2020년 2월 ~ 2020년 8월
배경
- 코로나19 팬데믹 확산 → 재택근무, 원격수업, 화상회의 도입 폭증
- 전 세계적인 비대면 수요 증가 → 클라우드, 원격접속, 보안 솔루션 수요 급증
대장주 및 주도주
구분 | 종목명 | 특징 |
대장주 | 알서포트 | 원격제어 및 화상회의 솔루션 보유. 재택근무 수혜주로 가장 먼저 급등하며 대표 주도로 부상. |
주도주 | 파수 | 재택근무 시 필요한 DRM 및 문서보안 솔루션 수요 증가로 상승. |
〃 | 더존비즈온 | 비대면 ERP, 그룹웨어 등 SaaS 수요 증가로 관심 집중. |
〃 | NHN | TOAST 클라우드 인프라 사업 확대 기대감 부각. |
알서포트는 2020년 3~4월 사이 단기간에 주가 3배 이상 상승하며 테마 대표주로 자리잡았습니다.
2차 확산기: 2021년 초 ~ 2021년 중반
배경
- 재택근무의 일상화와 하이브리드 근무제 확산
- ESG 경영 및 디지털 전환 강화 흐름 → 기업 내 스마트워크 시스템 정착 기대감 확대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
구분 | 종목명 | 특징 |
대장주 | 더존비즈온 | 중견·대기업 대상 ERP 및 클라우드 기반 업무시스템 공급 확대. 기업 실적 성장 수반. |
주도주 | 에스넷 | 스마트 오피스 인프라 구축 사업 수혜주로 부각. |
〃 | NHN | 클라우드, 협업 툴, 데이터센터 사업 강화 기대감. |
〃 | 폴라리스오피스 | 저가 오피스툴의 대체 수요 부각. |
이 시기에는 비대면 일시적 수요 → 디지털 인프라 상시 수요로 변화되면서, 기술기반 성장주 중심의 테마가 형성되었습니다.
테마 둔화기 및 재편기: 2022년 ~ 2023년
배경
- 코로나19 종식 선언과 함께 재택근무 수요 감소
- 그러나 기업들은 유연근무제 일부 유지 → SaaS 및 보안 솔루션 중심으로 관심 재편
상대적 강세 종목
종목명 | 특징 |
파수 | 보안 중심 솔루션 지속적 수요, AI+보안 결합 전략 추진 |
휴네시온 | 원격근무 환경에서 네트워크 보안 이슈 대응 솔루션 보유 |
영림원소프트랩 | ERP SaaS화 전환과 클라우드 기반 중소기업 솔루션 수요 증가 |
이 시기에는 실적 기반으로 생존한 종목들과, AI/보안/클라우드와 연결된 기술력 있는 기업들만이 재평가를 받는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주도 예상 종목
앞으로 테마가 다시 주목받게 될 경우, 다음과 같은 종목이 대장주/주도주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종목명 | 이유 |
더존비즈온 | 클라우드 기반 ERP와 보안 통합 시스템 보유, 실적 기반 안정성 |
NHN | 대형 클라우드 사업자로서 인프라 투자 확대 기대 |
파수 / 휴네시온 | 사이버 보안과 재택근무 연계된 지속적인 수요 확보 가능성 |
알서포트 | 기술 고도화와 해외시장 확장 시 과거 대장주 복귀 가능성 존재 |
요약
구분 |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1차 상승기 | 2020.2~2020.8 | 알서포트 | 파수, 더존비즈온, NHN |
2차 확산기 | 2021년 | 더존비즈온 | 에스넷, NHN, 폴라리스오피스 |
둔화기 | 2022~2023년 | (없음, 약세) | 파수, 휴네시온, 영림원소프트랩 |
향후 예상 | 2025년 이후 | 더존비즈온, NHN | 파수, 알서포트 |
이와 같이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는 초기엔 팬데믹 수혜로 급등한 단기 테마였으나, 현재는 디지털 전환, 보안, SaaS 등 구조적 트렌드에 편입된 중장기 테마로 재정립되고 있습니다. 테마의 생명력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기술 진화와 시장 확대 전략이 함께 뒷받침되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