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소재/부품) 테마는 수년간 반복적으로 부각된 대표적인 성장 테마로, 특히 전기차 시장 성장, 글로벌 친환경 정책 확대, 미국 IRA법 시행 등 외부 요인에 따라 강한 급등기를 여러 차례 경험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장을 주도한 대장주와 주도주는 시장 환경과 배터리 기술 트렌드(3원계, LFP, 전고체 등)에 따라 변화를 겪어왔습니다.
1. 2017~2018년: 테마 초기 주도기
시장 배경
테슬라 모델3 출시에 따른 글로벌 전기차 시장 기대감
국내에서는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 셀 제조사 중심 수혜 기대
대장주 / 주도주
구분 | 종목 | 특징 |
대장주 | 엘앤에프 | NCM 양극재로 초기 시장 선점, 세트 대기업 공급 |
주도주 | 에코프로, 포스코케미칼(現 포스코퓨처엠) | 양극재 기술 부각, 광물 수직계열화 초점 |
부품주 | 상신이디피, 파워로직스 | 배터리팩, 보호회로 시장 관심 증가 |
2. 2020년: 전기차 대중화 기대와 함께한 1차 급등기
시장 배경
유럽 CO₂ 규제 강화 및 보조금 확대
테슬라 주가 폭등 → 전기차 소재주에 대한 기대감 확산
대장주 / 주도주
구분 | 종목 | 특징 |
대장주 | 에코프로비엠 | 하이니켈 양극재 시장 리더로 부상, 코스닥 대장주 등극 |
주도주 | 엘앤에프 | 테슬라 수혜 기대, 해외 고객사 다변화 진행 |
후속주 | 천보, 엔켐 | 전해액 소재주 부각 (실적 급증과 함께 성장 스토리 형성) |
소재주 | 포스코케미칼, SKC | 음극재/동박 진출 이슈, 수직계열화 부각 |
3. 2021~2022년: IRA 수혜주로서의 2차 급등기
시장 배경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 → 북미향 배터리 소재 공급망 구축 이슈 부상
중국산 의존 탈피에 따른 국산 소재주 재평가
대장주 / 주도주
구분 | 종목 | 특징 |
대장주 | 포스코퓨처엠 | 리튬, 니켈 등 핵심광물부터 양극재까지 수직계열화 대표 |
주도주 |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 IRA 수혜주로 재부각, 수직계열화 및 북미향 진출 강화 |
후속주 | 나노신소재, 켐트로스, 엔켐 | 첨가제, 전해액 등 세부소재 주목 |
신규 편입 | SK아이이테크놀로지, 덕산테코피아 | 분리막, 특수화학소재로 영역 확장 |
4. 2023~2024년: 차익실현기와 전고체 배터리 기대감 혼재
시장 배경
전기차 성장률 둔화, 경기침체 우려 → 소재주 조정
그러나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기대감으로 일부 종목 반등
대장주 / 주도주 변화
구분 | 종목 | 특징 |
강세 유지 | 에코프로, 엘앤에프, 포스코퓨처엠 | 기존 대장주 여전히 주목, 실적과 비전 동반 |
재부각 종목 | 대주전자재료, 천보, 후성 | 실리콘 음극재, 고체 전해질, 전해질 첨가제 등 신소재 |
테마성 강세 | 삼기, 나노팀, 피노 등 | 전고체·전기차 화재방지 등 특화소재 테마 부각 |
5. 2025년 상반기 흐름
시장
유럽·미국 전기차 침투율 정체로 인한 수요 둔화 우려
그러나 폐배터리 재활용, 전고체 상용화, 국산화 이슈 지속 부각
유의미한 흐름
구분 | 종목 | 이유 |
안정적 대장주 |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 | 실적 견조, IRA 직접 수혜 |
신규 주도주 | 후성, 천보, 엔켐 | 고순도 전해질, 고체전해질로 미래 대응력 보유 |
신흥 강세 | 대주전자재료, 덕산테코피아, SK아이이테크놀로지 | 전고체 배터리 소재주로서 프리미엄 형성 가능성 |
요약 정리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핵심 이슈 |
2017~18 | 엘앤에프 | 에코프로, 포스코퓨처엠 | EV 기대, 초기 양극재 부각 |
2020 | 에코프로비엠 | 엘앤에프, 천보 | 유럽 규제, 테슬라 붐 |
2021~22 | 포스코퓨처엠 | 에코프로비엠, 엔켐 | IRA, 국산화, 수직계열화 |
2023~24 | 에코프로 | 대주전자재료, 천보 | 전고체 배터리 기대감 |
2025~ | 포스코퓨처엠 | 후성, 천보, 덕산테코피아 | 차세대 소재, 리사이클링 |
이와 같이 2차전지 소재/부품 테마는 시장 국면 변화에 따라 주도주의 교체가 비교적 빠르게 이루어지며, 실적 성장과 함께 수출 경쟁력, 소재 독점력을 갖춘 기업들이 지속적인 대장주로 군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테마 접근 시에는 기술 차별성, 고객사 다변화, 글로벌 수급 여건 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