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테마의 상승기 시점과 대장주, 주도주의 변화는 글로벌 트렌드와 국내 디지털 정책의 흐름에 따라 크게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각 시점의 시장 배경과 주도주의 특징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차 상승기: 2019년 ~ 2020년 초 (디지털 전환 초기 확산기)
배경
클라우드 산업의 글로벌 확장 (AWS, Azure 성장)
국내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도입 허용 정책 발표
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요 증가 (ERP, 재택근무 시스템 수요 급증)
대장주
더존비즈온: WEHAGO 플랫폼으로 SaaS 대표주로 급부상
한글과컴퓨터: 클라우드 오피스 소프트웨어 확대
주도주
다우기술, 포시에스: 문서 기반 클라우드 솔루션 주목
케이사인, 안랩: 클라우드 보안 수요 증가로 반사이익
2차 상승기: 2020년 중반 ~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 디지털 뉴딜)
배경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업무 급속 확대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 발표 (클라우드 전환 예산 확대)
공공부문 클라우드 의무화 정책 발표 (2021년부터 가속화)
대장주
NAVER, KT, LG CNS (비상장): 클라우드 인프라(IaaS) 대표 수혜
더존비즈온: 꾸준한 실적 개선과 WEHAGO 플랫폼 확장
주도주
나무기술: 클라우드 통합관리 플랫폼 ‘칵테일 클라우드’ 주목
솔트룩스, 엑셈: AI+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기업으로 부상
SGA솔루션즈, 휴네시온: 보안 기반 망연계 수요로 단기 급등
3차 상승기: 2023년 말 ~ 2024년 (AI 클라우드/공공 확대기)
배경
ChatGPT를 비롯한 생성형 AI 붐 → 클라우드 연산 수요 급증
공공·금융권의 본격적 클라우드 이전 시작
국산 SaaS 활성화 정책 발표 및 K-클라우드 산업 육성 정책 추진
대장주
삼성에스디에스: 금융·제조 중심의 산업 클라우드 확대
NAVER: AI 연동 클라우드 플랫폼(Naver Cloud, CLOVA) 중심 수혜
주도주
포스코DX: 스마트팩토리 중심 클라우드 사업 확장
엔텔스, 유엔젤: 통신 클라우드 인프라 관련 솔루션 강화
엠로, 영림원소프트랩: B2B SCM·ERP SaaS로 재조명
폴라리스오피스: 클라우드 기반 문서편집 수요 확장 기대
정리: 시기별 주도 흐름 요약
시기 | 시장 배경 | 대장주 | 주요 주도주 |
2019~2020 | 디지털 전환 초기 | 더존비즈온, 한컴 | 다우기술, 포시에스, 케이사인 |
2020~2021 | 코로나+디지털뉴딜 | NAVER, KT, 더존비즈온 | 나무기술, 엑셈, 솔트룩스, SGA솔루션즈 |
2023~2024 | 생성형 AI·공공 확산 | 삼성에스디에스, NAVER | 포스코DX, 엔텔스, 엠로, 폴라리스오피스 |
클라우드 컴퓨팅 테마는 정부 정책, 글로벌 IT 트렌드, AI 연산 수요 확대라는 세 가지 핵심 동인에 의해 반복적인 테마 상승 주기를 형성해왔습니다. 초기에는 SaaS 중심, 이후에는 인프라 중심으로, 최근에는 AI와 결합된 클라우드 수요로 주도주가 꾸준히 진화해왔으며, 향후에도 산업별 맞춤형 클라우드(산업별 SaaS) 및 AI 최적화 인프라를 중심으로 주도주의 추가 교체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