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테마는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암호화폐 가격이 급등할 때마다 국내 증시에서도 반복적으로 상승세를 보여왔습니다. 특히 비트코인의 반감기, 주요 거래소 상장 이슈, NFT 및 P2E 게임 열풍, 국내외 규제 완화 조짐 등이 겹칠 경우 이 테마는 강한 테마 장세를 연출하곤 합니다.
아래에는 그동안 주요 상승기별로 대장주와 주도주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정리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1. 2017년 말 ~ 2018년 초 (비트코인 1차 광풍기)
배경
비트코인 2만 달러 돌파 시도
ICO 열풍과 거래소 확장기
국내 거래소 업비트·빗썸 폭발적 성장
대장주
우리기술투자: 두나무(업비트) 초기 투자사로 급등세를 주도하며 테마의 상징주로 자리잡음.
주도주
한화투자증권: 두나무 지분 6.15% 보유 소식이 알려지며 2차 대장주 역할.
SGA / SGA솔루션즈: 보안 관련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상승.
다날: 가상화폐 결제 시스템 '페이코인' 기대감 부각.
2. 2020년 하반기 ~ 2021년 상반기 (코로나 이후 디지털 자산 붐)
배경
비트코인 6만 달러 돌파
PayPal·테슬라의 비트코인 결제 도입
NFT 초기 시장 개화
대장주
위메이드: 위믹스 코인 급등과 블록체인 게임 사업화로 폭발적 상승. 시장의 중심축으로 부상.
주도주
컴투스홀딩스: C2X 플랫폼과 P2E 게임 개발 계획 발표
엠게임, 네오위즈, 카카오: 블록체인 게임, NFT, 지갑 서비스 연계로 주도권 경쟁
FSN: NFT/블록체인 콘텐츠 마케팅 사업 확장 발표로 급등
3. 2021년 하반기 ~ 2022년 초 (NFT·P2E 열풍기)
배경
NFT 대중화와 메타버스 결합
국내외 P2E 게임 정책 논의
클레이튼 등 국내 코인 주목도 상승
대장주
위메이드: 위믹스 기반 블록체인 게임 다수 출시, 실제 매출 성과도 일부 확인됨.
주도주
컴투스홀딩스, 네오위즈, 엠게임: NFT 게임 확장 발표와 함께 높은 탄력
카카오: 클레이튼 기반 NFT 마켓과 클립(Klip) 지갑의 대중화 기대감 부각
4. 2022년 하반기 ~ 2023년 (가상화폐 시장 침체기)
배경
루나 사태, FTX 파산 등으로 가상자산 신뢰도 급락
규제 강화 및 거래량 감소
테마 침체로 대장주 및 주도주 부재
위메이드조차 하락 전환
투자 관련 종목 대부분 조정세
5. 2024년 말 ~ 2025년 초 (비트코인 ETF 승인 기대 및 반감기 전 랠리)
배경
미국 내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이슈
2024년 비트코인 반감기 임박
웹3와 블록체인 게임 재부각
대장주
한화투자증권: 두나무 지분주로서 ETF 수혜 기대 반영
우리기술투자: 가상자산 투자 재부각과 함께 선도주 반등
주도주
컴투스홀딩스: 웹3, C2X 생태계 확장 재개로 상승
FSN: NFT 기반 콘텐츠 서비스 강화 소식
다날: 가상화폐 결제 재조명 기대감
비트맥스, 위지트: 상호명, NFT 기대감으로 단기 급등세
정리
상승기 | 대장주 | 주요 주도주 |
2017년 말 | 우리기술투자 | 한화투자증권, 다날, SGA |
2020년~2021년 | 위메이드 | 컴투스홀딩스, 엠게임, FSN, 카카오 |
2021년 하반기 | 위메이드 | 네오위즈, 컴투스홀딩스, 엠게임 |
2024년 말~ | 한화투자증권 | 우리기술투자, 컴투스홀딩스, FSN, 다날 |
가상화폐 테마는 글로벌 이슈와 기술적 진화, 규제 환경 변화에 따라 급격히 흐름이 바뀌는 민감한 테마입니다. 주도주는 항상 같지 않으며, 코인 가격 흐름과 해당 기업의 실제 참여도, 지분 구조, 기술 경쟁력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해왔습니다. 테마 재점화 시점에는 가장 먼저 대장주의 움직임이 포착되며, 이후 콘텐츠, 투자, 결제, 보안 등의 영역으로 순차 확산되는 흐름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