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알츠하이머) 테마는 글로벌 제약사의 치료제 승인, 임상 데이터 발표, 국내외 고령화 정책 확대 등의 뉴스에 따라 단기 급등을 반복하는 테마입니다. 특히 FDA 승인과 신약 개발 기대감이 테마의 상승기를 주도하며, 그 흐름에 따라 대장주와 주도주가 순환 변화를 보입니다.
치매 테마의 주요 상승기 시점과 대장주/주도주 변화 흐름
1차 상승기: 2020년 6월 ~ 2021년 2월
배경: 美 바이오젠(Biogen)의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두카누맙(aducanumab)’ FDA 승인 기대감 및 승인 추진 소식.
주요 이슈:
2020년 11월 FDA 자문위 반대 → 주가 급락
2021년 2월 FDA 우호적 논조 보도 → 국내 치매 관련주 급등
구분 | 대장주 | 주도주 | 비고 |
대장주 | 피플바이오 | 치매 혈액진단키트 개발, 관련 특허 이슈로 주가 급등 | |
주도주 | 수젠텍, 퀀타매트릭스 | 진단 키트 기술력 부각 및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 이슈 부각 | |
기타 | 펩트론, 아이큐어 | 치매약 패치형 제제, 중추신경계 약물 전달 시스템 이슈 부각 | |
2차 상승기: 2021년 6월 ~ 7월
배경: 바이오젠의 ‘아두헬름(Aduhelm)’ FDA 조건부 승인(2021.06.07)
주요 이슈:
세계 최초 알츠하이머병 발병 기전을 타깃으로 한 항체치료제 승인
국내 바이오기업들의 기술 수혜 기대감 급등
구분 | 대장주 | 주도주 | 비고 |
대장주 | 피플바이오 | 진단기술 선도, 시장 지배력 기대감 | |
주도주 | 펩트론, 퓨쳐켐 | 펩트론: LA치료제 파이프라인 보유 / 퓨쳐켐: PET 진단의약품 개발 | |
후속 | 에이비엘바이오, 보로노이 | 이중항체 플랫폼, 뇌질환 타깃 치료제 연구 가속화 | |
3차 상승기: 2023년 6월 ~ 8월
배경: 美 엘라이 릴리(Lilly), 에자이(Eisai)의 알츠하이머 신약 ‘레카네맙(Leqembi)’ FDA 정식 승인 (2023.07.06)
주요 이슈:
치매 신약이 증상 완화 아닌 병인기전(β-amyloid) 직접 타깃
글로벌 임상 성공 확산 → 국내 유사 기술 기대감 부각
구분 | 대장주 | 주도주 | 비고 |
대장주 | 퓨쳐켐 | 알츠하이머 PET 진단제 FC303, 기술 부각으로 신고가 | |
주도주 | 피플바이오, 큐라클, 샤페론 | 피플바이오: 진단 / 큐라클: 혈관장벽 기술 / 샤페론: NLRP3 염증억제 기반 신약 | |
후속 | 리메드, 인벤티지랩 | 비약물 치료(신경자극), 약물전달 플랫폼으로 기대감 유입 | |
주도주 변화 요약
시기 | 대장주 | 주도주(서브) | 특징 |
2020년 중반 | 피플바이오 | 수젠텍, 펩트론 | 혈액진단 기대감 주도 |
2021년 중반 | 피플바이오 | 퓨쳐켐, 아이큐어 | 진단+제제기술 급등 |
2023년 중반 | 퓨쳐켐 | 큐라클, 샤페론, 피플바이오 | 진단+치료제 균형 이동 |
치매 테마는 외부의 글로벌 제약사 치료제 승인 여부에 강하게 반응하며, ‘진단’에서 ‘치료제 개발’ 중심으로 테마 주도 흐름이 이동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피플바이오, 수젠텍 중심의 진단 키트가 강세를 보였지만, 최근에는 퓨쳐켐, 큐라클, 샤페론, 보로노이처럼 신약 후보물질과 플랫폼 기술 기반의 치료제 기업이 주도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글로벌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 트렌드, 국내 임상 진행 상황, 기술이전 뉴스 등을 중심으로 대장주-주도주가 다시 순환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