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IoT) 테마는 특정 기술의 단기 수요 급증보다는, 기술 진화와 사회적 응용 확대에 따라 주기적으로 부각되는 ‘중장기 성장형 테마’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상승기 또한 외부 정책, 글로벌 수요 확대, 또는 핵심 산업(예: 스마트홈, 자율주행, 스마트팩토리 등)의 성장 국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나곤 합니다.
아래는 사물인터넷 테마의 주요 상승기 시점과 그 당시 대장주 및 주도주의 변화 흐름에 대한 분석입니다.
1차 상승기 (2015년 하반기 ~ 2016년 상반기)
배경:
- 정부 주도의 ‘사물인터넷 산업 활성화 종합계획’ 발표 (2015년 5월)
- SKT, KT, LGU+ 등 주요 통신사의 NB-IoT 기반 서비스 개시 발표
- 스마트홈/스마트시티 개념이 대중화되며 투자 심리 촉진
대장주 및 주도주:
종목 | 특징 |
유비쿼스 | 네트워크 장비 대표주로 강세, LTE 및 IoT 인프라 확대 수혜 |
다산네트웍스 | 통신장비, 스위치 등 관련 수요 급등 기대감 |
코콤 | 스마트홈 관련 수혜주로 실적 기대감 증가 |
누리플렉스 | 스마트미터기 보급 확대 기대에 강세 |
에이텍 | 스마트 단말기, 공공부문 수요 기대감 반영 |
2차 상승기 (2018년 상반기 ~ 하반기)
배경:
- 삼성SDS, LG CNS 등 대기업의 스마트팩토리 사업 확대
- NB-IoT 전국망 구축 완료 발표 (2017년 말 ~ 2018년 초)
- 4차 산업혁명 테마 확대와 스마트공장 시범사업 본격화
대장주 및 주도주:
종목 | 특징 |
삼성에스디에스 | 스마트팩토리 및 IoT 기반 물류 플랫폼 제공 |
비츠로시스 | 산업용 원격제어 및 센서기술 보유로 수혜 |
에스넷 | IoT 네트워크 설계/유지 전문 기업으로 테마 중심 부각 |
SGA솔루션즈 | IoT 보안 부문에서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주목 |
3차 상승기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2020년 하반기 ~ 2021년 상반기)
배경:
- 비대면 산업 폭발적 성장: 원격제어, 원격진료, 스마트오피스 등 수요 증가
- 정부 디지털 뉴딜 정책: 스마트시티·공공서비스 디지털화 정책 확대
- AI·클라우드와 IoT의 융합 수요 증가
대장주 및 주도주:
종목 | 특징 |
유진로봇 | 비대면 생활환경 속 자율주행 및 청소로봇 수요 급등 |
트루엔 | 영상보안/스마트시티 연계 수혜로 단기 급등 |
SGA / 케이사인 | 보안 테마 중복 수혜, 급등 테마의 변동성 중심 |
오픈베이스 | IoT 연계 보안 솔루션 부각, 실적 개선 기대감 반영 |
4차 상승기 (2023년 하반기 ~ 2024년 초)
배경:
- 챗GPT 발 글로벌 AI 붐 → Edge AI, AIoT 융합 이슈 등장
- 자율주행/스마트시티 인프라 확대: 정부·지자체 투자 증가
- 전기차, 스마트공장, 로봇 산업 등 IoT 연계 산업 성장 본격화
대장주 및 주도주:
종목 | 특징 |
알파칩스 | 시스템반도체 관련 강세와 IoT 설계 기반 부각 |
엑사이엔씨 | 네트워크·디지털 제어 기술 기반으로 급등 |
SGA / 케이사인 | AI·IoT 연계 보안 테마로 다시 급등 흐름 주도 |
소니드 | IoT·센서·로봇 융합주로 투기성 수급 집중 |
주도주 변화 흐름 요약
시기 | 대장주 | 변화 키워드 |
2015~2016 | 유비쿼스, 다산네트웍스 | 통신 인프라 중심 (NB-IoT) |
2018 | 삼성에스디에스, 비츠로시스 |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
2020~2021 | 유진로봇, 트루엔, SGA | 비대면·스마트홈·보안 중심 |
2023~2024 | 알파칩스, 엑사이엔씨, 소니드 | AI·IoT 융합/에지컴퓨팅 주도 |
- AIoT(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와의 융합이 향후 핵심 테마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Edge 컴퓨팅, 자율주행, 헬스케어, 로봇 등의 산업과 연계된 종목들이 새로운 주도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또한 사이버보안, 스마트에너지 관리, 스마트팩토리 자동화는 계속해서 사물인터넷 테마의 하위 섹터로 강세를 보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