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항공기부품 테마 개요와 관련 종목들

    작은연못 7 회 2025-07-09

  • 

    항공기부품 테마는 항공기 제조, 정비(MRO), 그리고 국방·우주 항공산업과 직결된 산업군으로, 민간항공과 군수 항공 모두에 부품을 납품하거나 시스템을 공급하는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해당 테마는 세계 항공산업의 성장, 방위산업 강화, 민항기 교체 수요, 그리고 우주항공 개발 확대 등의 흐름에 따라 주목받게 됩니다.

     

    항공기부품 테마 개요

    항공기부품 테마는 크게 다음과 같은 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항공기 OEM(제조사)와의 협업

    보잉, 에어버스, 록히드마틴 등 글로벌 항공기 제조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납품

    군용기 및 무기체계 통합

    전투기, 수송기, 무인기 등 군용기의 부품 및 시스템 제작에 참여

    MRO 산업

    항공기의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 수요와 수출입의 확대

    첨단 소재 및 경량화

    탄소복합재,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등의 경량 부품 개발 및 생산

     

    관련 종목별 테마 연관성

    종목명주요 역할 및 테마 연관성
    LIG넥스원유도무기, 레이더, 항공전자 등 방위산업의 핵심 기업으로, 항공 전자 및 통신장비 생산
    대한항공항공운송사이자 항공기 정비(MRO) 사업을 운영, 특히 군용기와 민항기 정비 분야 확대
    두산에너빌리티원전 및 터빈 중심이지만, 항공기 엔진용 정밀주조 기술도 보유 (과거 항공기 엔진 부품 제작 경험 有)
    솔디펜스항공기 구조물 및 기체 부품, 국방산업 분야에서 항공기 핵심 부품 제작
    아스트보잉, 에어버스 등 글로벌 항공기 제조사에 기체 구조물 납품
    오르비텍비파괴검사 기술을 기반으로 항공기 부품 검사 및 정비 참여
    이엠코리아항공기 부품 및 지상장비 생산, 방산 납품 이력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항공기 동체 부품, 스트링거 등 금속 항공 구조물 전문, 보잉, 에어버스 협력사
    하이즈항공항공기 기체 부품 전문 제작사, KAI와 협력하며 수리온, T-50 등 국산 항공기 구조물 생산
    한국카본탄소복합소재 전문 기업으로 항공기 경량 부품 제작에 필수적인 소재 공급
    한국항공우주 (KAI)국내 대표 항공기 OEM 제조사로 T-50, 수리온, FA-50 등 자체 제작, 항공부품 내재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항공기 엔진 및 항공 방산 부품 생산, 미국 GE와의 협업을 통한 글로벌 공급망 진입
    현대위아항공기 착륙장치 및 정밀 기계 부품 제조, 항공기 엔진 부품 가공 능력 보유
    휴니드항공 통신장비 및 시스템, 항공기 전자통신 시스템 핵심부품 개발

     

    종합적 설명

    이 테마에 속한 기업들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뉘게 됩니다.

     

    첫째, 완성기 제작사 및 대형 엔진·시스템 제작사이며, 대표적으로 한국항공우주(KAI),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이들은 국산 항공기의 주체로서 엔진, 동체, 시스템 등의 내재화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둘째, 부품 공급 및 가공 업체이며,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하이즈항공, 아스트, 솔디펜스 등은 글로벌 항공기 제조사에 부품을 납품하거나, 국산 항공기의 하청 제작을 맡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카본과 같이 소재 측면에서 항공기의 경량화, 내열성 향상 등을 지원하는 기업도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대한항공오르비텍은 정비 및 검사 영역에서의 특화된 경쟁력을 기반으로 테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망

    항공기부품 테마는 다음과 같은 트리거(상승 요인)에 따라 시장의 주목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KAI, 한화에어로 중심의 FA-50 수출 및 국산 전투기 KF-21 양산
    • 보잉/에어버스의 민항기 교체 수요 재개에 따른 부품 수출 확대
    • 미국·유럽 중심의 우주항공 산업 확대 (NASA, 스페이스X 등)
    • 항공 MRO 산업의 구조적 성장, 국내 정비 기술 자립화 추진
    • 탄소복합소재, 초정밀 가공 기술 확대에 따른 부품 경쟁력 상승

     

    이와 같은 요소들을 바탕으로, 항공기부품 테마는 국방산업과 민간항공, 그리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맞물려 중장기적으로 매력적인 산업군으로 평가받게 될 것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