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델링/인테리어 테마는 일반적으로 경기 회복기와 부동산 활성화 시점, 그리고 정부의 주거복지 및 재건축·리모델링 정책 발표 시기에 맞물려 주목을 받으며 상승 흐름을 보이곤 합니다. 이 테마의 상승기 중 대표적인 시기는 다음과 같은 시점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때마다 대장주와 주도주의 성격도 변화해왔습니다.
1차 상승기: 2020년 하반기 ~ 2021년 상반기
상승 배경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집콕 트렌드 확대, 홈 인테리어 수요 급증
- 정부의 노후 아파트 리모델링 활성화 정책 발표
- 저금리 기조로 부동산 시장 과열 → 리모델링 수요 증가
대장주
- 한샘: 인테리어 원스톱 서비스 플랫폼으로 자리 잡으며 주도적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2020년 하반기~2021년 상반기 동안 외형 성장과 실적 개선이 동반되며, 시장에서 대표 리모델링 대장주로 주목받았습니다.
- 현대리바트: 한샘 다음으로 주가가 급등했으며, 홈퍼니싱·B2B 인테리어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주도주
- KCC글라스: LG하우시스 인수 효과와 함께 유리·창호 수요 증가에 따른 주가 상승이 나타났습니다.
- LX하우시스(당시 LG하우시스): 에너지 절감형 창호 및 마감재 수요 증가로 테마 내 강한 주도주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 국보디자인, 시공테크: 상업용 인테리어 회복 기대감에 따른 동반 상승이 있었습니다.
- 에넥스, 대림바스, 하츠: 주방·욕실·가전 브랜드들도 한샘 상승에 따른 동반 효과를 누렸습니다.
2차 상승기: 2022년 하반기 ~ 2023년 초
상승 배경
- 윤석열 정부의 1기 신도시 리모델링 추진 공약 구체화
- 리모델링 규제 완화와 함께 용적률 상향 기대감 확대
- 고금리·고물가 국면 속에서도 리모델링은 재건축 대비 비용 부담이 적어 수요 유지
대장주
- KCC: 페인트, 단열재, 유리 등 복합 소재 공급사로서 인테리어 수요 전반과 연결되어 있으며, 2022~2023년 사이 실적 모멘텀이 부각되어 대장주 반열에 올랐습니다.
- LX하우시스: 리모델링 확대 기대와 B2C 시장 진출 본격화로 인해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
주도주
- 국보디자인: 당시 1기 신도시 리모델링 수혜주로 가장 주목받았으며, 관련 수주 기대감이 반영됐습니다.
- 동화기업, 한솔홈데코, 이건산업: 마감재 수요 증가와 친환경 건자재 수요가 맞물려 투자자 관심을 받았습니다.
- 유니드비티플러스, 벽산: 건축단열재 및 흡음재 등 신소재 공급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가 작용했습니다.
최근 흐름 (2024~2025년)
- 2024년 부동산 경기 둔화와 고금리 장기화로 리모델링 투자 수요가 주춤했으며, 관련주 전반적으로 조정 국면을 거치게 되었습니다.
- 다만, 2025년 이후 예상되는 기준금리 인하 전환, 정부의 노후 아파트 리모델링 재추진 방침, 고령화에 따른 유니버설 디자인 수요 등이 부각될 경우 다시 한 번 상승 모멘텀이 형성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테마별 대장주 및 주도주 흐름 정리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상승 배경 |
2020~2021 | 한샘 | 현대리바트, KCC글라스, LX하우시스 | 집콕 수요, 리모델링 정책 |
2022~2023 | KCC, LX하우시스 | 국보디자인, 동화기업, 한솔홈데코 | 1기 신도시 리모델링, 용적률 완화 |
2024~현재 | (조정기) | (개별 이슈 중심) | 고금리, 부동산 침체로 수요 둔화 |
요약하자면, 리모델링/인테리어 테마는 정책, 주택 사이클,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라 수시로 조정과 반등을 반복하는 성격을 지니며, 대장주 또한 그 시점의 트리거에 따라 한샘 → KCC → LX하우시스 등으로 순환적으로 전환되는 경향이 강합니다. 향후 금리 인하 및 정책 드라이브가 재차 가속화될 경우, 다시금 KCC, LX하우시스, 한샘 중심의 주도세 전개가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