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테마 관련주는 과거 여러 시점에서 강한 상승 흐름을 보인 바 있으며, 특히 소비 회복기, 대형 이벤트(대선, 올림픽 등), 디지털 광고 시장 성장기에 주목받아 왔습니다. 다음은 주요 급등기 시점별 대장주와 주도주의 변화 흐름을 중심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차 급등기: 2020년 하반기 ~ 2021년 초 (코로나 이후 비대면 광고 시장 확장기)
배경
- 코로나19로 인해 오프라인 광고가 급감하고, 온라인/모바일 광고 수요가 급증하였습니다.
- 디지털 전환 가속화 및 이커머스 플랫폼 성장으로 퍼포먼스 마케팅 수요 폭발.
- 언택트 소비 증가 → 콘텐츠 기반 광고 플랫폼 각광.
대장주 및 주도주
구분 | 종목 | 역할 및 설명 |
대장주 | 에코마케팅 | 디지털 마케팅 전문성과 자회사 ‘지그재그’로 주목받으며 선도 상승 |
주도주 | FSN | 애드쿱·애드픽 기반의 퍼포먼스 광고 호조로 강세 |
주도주 | 이엠넷 | 구글/네이버/페이스북 등 디지털 광고 채널 강점으로 수혜 |
주도주 | 인크로스 | SK 계열 디지털 광고 플랫폼 기업으로 영상 광고 시장 성장에 따라 상승 |
2차 급등기: 2022년 1분기 (대선 국면과 기업광고 재개)
배경
- 대선과 지방선거 앞두고 정치광고·브랜드 마케팅 수요 확대
- 백신 보급 이후 경기 회복 기대감 속 소비재 광고 증가
- 디지털 광고 예산 본격 확대
대장주 및 주도주
구분 | 종목 | 역할 및 설명 |
대장주 | 플레이디 | KT 계열사로 검색광고·디스플레이 광고 총괄하며 강한 거래대금 동반 상승 |
주도주 | 레뷰코퍼레이션 | 인플루언서 광고 시장 성장 기대감에 따라 강세 |
주도주 | 모비데이즈 | 앱 마케팅 광고 시장 확대에 따른 관심 집중 |
주도주 | 엔비티 | 보상형 광고 플랫폼 '캐시슬라이드'로 사용자 트래픽 기반 수익 기대감 확대 |
3차 상승기: 2023년 하반기 (AI·빅데이터 기반 타겟 광고 확산기)
배경
- ChatGPT 등장 이후 AI기반 광고 최적화 기술 주목
- 리타게팅 광고, DMP(Data Management Platform) 확대
- 미디어렙사 중심에서 테크 기반 광고사로 무게 이동
대장주 및 주도주
구분 | 종목 | 역할 및 설명 |
대장주 | FSN | AI 광고 기술 고도화 발표 및 실적 개선으로 수급 집중 |
주도주 | 이노션 | 현대차 글로벌 마케팅 집행 확대로 글로벌 수혜주로 부각 |
주도주 | 엔피 | XR기술 기반 디지털 콘텐츠 광고 시장 진출 소식으로 급등 |
주도주 | 지어소프트 | 커머스 기반 실시간 광고 기술 보유로 재평가 흐름 형성 |
종합 흐름 분석
- 초기 디지털 전환기(2020~2021): 에코마케팅, FSN, 인크로스 중심으로 온라인 광고 급성장에 따른 수혜
- 정책 및 정치 이벤트기(2022): 플레이디, 레뷰코퍼레이션 등이 단기 대장주로 급부상
- 기술 진화기(2023~): AI·XR 광고, 커머스 광고 연계 종목인 FSN, 엔피, 지어소프트 등으로 주도주 변화
향후 주도주 변화 가능성
포인트 | 유망 주도주군 예시 |
AI 기반 타겟 광고 확대 | FSN, 엔비티, 와이즈버즈 |
인플루언서 기반 콘텐츠 광고 | 레뷰코퍼레이션, 아티스트컴퍼니 |
글로벌 대행 광고 강화 | 제일기획, 이노션 |
커머스·라이브 쇼핑 연계 광고 | 지어소프트, 케어랩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