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모바일 게임(스마트폰) 테마의 대장주 주도주 변천사에 대하여

    작은연못 16 회 2025-06-12

  • 

    한국 증시에서 모바일게임 테마의 대장주·주도주 변천사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 내용은 약 2011년 스마트폰 대중화 이후부터 최근까지 약 15년간의 흐름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1차 시기 : 태동기 (2011~2013년)

     

    스마트폰 도입과 초기 대장주의 등장

     

    이 시기는 아이폰·갤럭시 시리즈의 대중화로 스마트폰 게임시장이 막 태동하던 시점입니다.

    기존 PC게임 중심에서 모바일로의 급격한 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기간주요 대장주특징
    2011~2012컴투스, 게임빌초창기 모바일게임 전문기업으로 선도
    2013데브시스터즈, NHN엔터 (현재 NHN), 위메이드쿠키런 1세대 흥행 / 웹보드 게임이 급성장

     

    • 컴투스, 게임빌: 당시 스마트폰 퍼즐·RPG 장르의 초창기 시장을 선도합니다.
    • NHN엔터, 위메이드: 웹보드·소셜게임 붐으로 실적 급증.
    • 데브시스터즈: 쿠키런이 카카오 플랫폼을 타고 폭발적 흥행.

     

    2차 시기 : 카카오게임 플랫폼 전성기 (2013~2015년)

     

    카카오톡 플랫폼 기반 게임붐

     

    카카오톡 게임하기 서비스가 론칭되면서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이 본격 폭발합니다.

    이 시기에 다수의 캐주얼게임 기업들이 급부상합니다.

     

    •  
    기간주요 대장주특징
    2013~2014데브시스터즈, 선데이토즈, 위메이드국민게임 시대 (애니팡, 쿠키런 등)
    2014~2015넷마블본격적인 RPG, MMORPG 도입

     

    • 선데이토즈: 애니팡 시리즈 흥행 → 대표적인 카카오 게임하기 수혜.
    • 넷마블: 이후 카카오 연동을 넘어 자체 퍼블리셔로 급성장.
    • 위메이드: 미르 IP의 중국 수출 기반 확대.

     

    3차 시기 : MMORPG 모바일 본격화 (2015~2017년)

     

    PC MMORPG의 모바일화 성공

    국내 게임개발사의 강점인 MMORPG 장르가 본격적으로 모바일화되면서 대형 신작들이 줄줄이 출시됩니다.

     

    기간주요 대장주특징
    2015~2016넷마블레이븐, 모두의마블 흥행
    2016~2017엔씨소프트, 넷마블리니지2 레볼루션 대흥행

     

    • 넷마블: 레이븐, 모두의마블 → 리니지2레볼루션으로 대형 퍼블리셔 도약.
    • 엔씨소프트: 리니지M 출시 → 사상 최대 시총 갱신.
    • MMORPG 수익 모델이 표준이 되어감.

     

    4차 시기 : 글로벌화 및 IPO붐 (2018~2020년)

     

    모바일게임의 글로벌 확장과 대형사 상장 붐

    국내를 넘어 북미·유럽·동남아 등 글로벌 확장이 본격화됩니다.

    동시에 대형 게임사들의 IPO가 잇따라 발생합니다.

     

    기간주요 대장주특징
    2018펄어비스, 컴투스검은사막 모바일 글로벌 흥행
    2019더블유게임즈, 네오위즈소셜카지노 및 웹보드 안정적 성장
    2020크래프톤배틀그라운드 글로벌 메가히트

     

    • 펄어비스: 검은사막 IP로 글로벌 MMORPG 수출.
    •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흥행 → 초대형 기업으로 도약.
    • 더블유게임즈, 네오위즈: 웹보드 및 카지노 게임이 안정적 매출원으로 주목.

     

    5차 시기 : NFT·P2E·블록체인 게임 붐 (2021~2022년)

     

    NFT-블록체인과의 결합, 테마 대전환기

    P2E(Play to Earn)라는 새로운 개념과 NFT 기술이 게임업계에 급격히 확산되며 일부 기업들이 폭발적 주가 상승을 경험합니다.

     

    기간주요 대장주특징
    2021위메이드미르4 글로벌 P2E 대성공
    2022컴투스홀딩스, 게임빌C2X·메타버스 플랫폼 추진
    2022네오위즈블록체인 게임 '브라운더스트' 확장

     

    • 위메이드: 미르4 글로벌 → WEMIX 토큰 활용 → 블록체인 게임 대표주자로 급등.
    • 컴투스홀딩스: C2X 플랫폼 구축으로 블록체인 게임 확장.
    • 네오위즈: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확장 도전.

     

    6차 시기 : 메타버스·콘솔·글로벌 다변화 시기 (2023~현재)

     

    IP 강화와 글로벌 멀티플랫폼 확장

    NFT·블록체인 거품 이후, 다시금 IP 기반 강화 및 콘솔·글로벌 멀티플랫폼 전략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기간주요 대장주특징
    2023시프트업니케 승리의 여신 글로벌 대흥행
    2023~2024크래프톤, 넷마블, 엔씨소프트북미·일본 중심 글로벌 확장
    2024~현재카카오게임즈, 펄어비스신작 중심 재도약 시도

     

    • 시프트업: 니케의 글로벌 성공 → 신흥 강자 부상.
    • 카카오게임즈: 오딘 IP 확대, 신규 라인업 준비.
    • 펄어비스: 붉은사막 기대작 대기중.
    •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글로벌 콘솔/PC 진출 확대.

     

    종합적으로 시간적 흐름을 살펴보면....

     

    초기 스마트폰 대장주: 컴투스, 게임빌, 데브시스터즈

    카카오 플랫폼 붐: 선데이토즈, 데브시스터즈

    MMORPG 시대: 넷마블, 엔씨소프트

     

    글로벌 확장기: 크래프톤, 펄어비스, 컴투스

    블록체인 붐: 위메이드, 컴투스홀딩스, 네오위즈

    현재 및 차세대 주도권: 시프트업, 크래프톤, 펄어비스, 카카오게임즈

     

    이와 같이 모바일게임 테마의 대장주·주도주는 기술 변화, 플랫폼 변화, 글로벌 진출 방향성에 따라 계속 이동해왔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