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게임 테마는 한국 증시에서 오랜 기간 동안 시장 참여자들에게 주목받아 왔으며, 특히 게임산업의 기술 변화, 글로벌 진출, IP확장, 메타버스·NFT·블록체인과의 융합 등 다양한 변화를 겪으면서 시장을 이끌어 온 테마입니다.
1. 모바일게임 스마트폰 테마란...
모바일게임 스마트폰 테마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게임산업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기업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와 함께 기존의 PC게임, 콘솔게임 중심이었던 게임시장이 모바일 중심으로 급속히 재편되었고, 그 과정에서 수많은 신흥 게임개발사와 퍼블리셔들이 성장해왔습니다.
테마의 특징
- 스마트폰 OS(Android, iOS) 기반 게임 제작 및 서비스
- 모바일 앱스토어 기반의 글로벌 유통구조
- 부분유료화(Freemium) 모델 기반 수익창출
- 게임 IP의 글로벌 확장성
- 블록체인·NFT·메타버스 등과 융합 시너지
- 중국, 일본, 북미, 유럽 등 글로벌 수출의존도 높음
2. 테마에 속한 종목
(1) 대표적 모바일게임 개발·퍼블리셔 기업군
기업명 | 주요 특징 |
넷마블 | 리니지2레볼루션, 세븐나이츠 등 모바일 대표주자, IP기반 글로벌 진출 |
엔씨소프트 | 리니지M, 리니지W 등으로 모바일에서도 강세, MMORPG 모바일화 성공 |
컴투스 | 서머너즈워 글로벌 흥행, 스포츠·야구게임 강세 |
컴투스홀딩스 | 컴투스의 지주사 역할, NFT/블록체인 메타버스 적극 진출 |
펄어비스 | 검은사막 모바일로 글로벌 진출, 액션MMORPG 강점 |
카카오게임즈 | 오딘, 프렌즈 IP, 카카오 플랫폼 기반 시너지 |
크래프톤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흥행, 글로벌 시장 선점 |
시프트업 | 니케: 승리의 여신 글로벌 흥행 신흥 강자 |
NHN | 한게임 출신, 모바일보드게임 및 웹보드 강점 |
데브시스터즈 | 쿠키런 시리즈, 여성·저연령층 타겟 성공 |
(2) 2차·중소형 개발사 및 퍼블리셔
기업명 | 주요 특징 |
위메이드 | 미르 IP 보유, 블록체인 게임 적극 추진 |
위메이드맥스 / 위메이드플레이 | 위메이드 계열, 캐주얼 퍼즐, 블록체인게임 |
네오위즈 / 네오위즈홀딩스 | 브라운더스트, 온라인 퍼즐게임, 웹보드 |
엠게임 | 열혈강호 IP, 안정적 해외 매출 |
더블유게임즈 | 소셜카지노 게임 글로벌 1위권 |
고스트스튜디오 | 메타버스/콘솔게임 중심으로 확장 |
밸로프 | 온라인게임 IP 모바일화 및 수출 |
한빛소프트 | 오디션 등 리듬게임 강자, 모바일 전환 |
플레이위드 | 로한 IP 기반 MMORPG |
티쓰리 | 오디션 원조 개발사, 캐주얼 리듬게임 |
액토즈소프트 | 미르 IP 일부 보유, 위메이드와 협력 관계 |
웹젠 | 뮤IP 중심으로 모바일화 |
조이시티 | 농구, 해전 시뮬레이션 게임 강점 |
데브시스터즈 | 쿠키런 시리즈 글로벌 인기 |
(3) 플랫폼, 콘텐츠 확장, 서비스 지원 기업군
기업명 | 주요 특징 |
NAVER | 웹툰·웹소설 IP를 기반으로 게임확장 |
카카오 | 플랫폼 기반, 게임 퍼블리싱 지원 |
미스터블루 | 웹툰 IP 기반 게임화 시도 |
링크드, 아이톡시, 넥써쓰, 네오리진, 이스트소프트 등 | 게임개발 및 콘텐츠서비스 확대 중소형사 |
3. 모바일게임 스마트폰 테마의 성장 배경
- 스마트폰 보급률 90% 시대 : 하드웨어 보급 확대 → 게임 유저층 폭증
- 구글플레이/앱스토어 플랫폼 개방 : 소형개발사도 글로벌 서비스 가능
- 한국 MMORPG 개발 노하우 : 고퀄리티 RPG 게임 글로벌 경쟁력
- IP 확장력 : 인기 웹툰, 소설, 영화 IP의 게임화 → 신규 유저 유입
- 부분유료화 BM 확산 : 소액결제·과금모델 정교화
- 글로벌 퍼블리싱 강화 : 일본·북미·동남아 수출 경쟁 격화
4. 투자 시 유의할 점
긍정요소 | 부정요소 |
글로벌 흥행 IP 확보 | 신작 실패 리스크 |
기술·BM 발전 | 규제 위험 (확률형 아이템 등) |
NFT·메타버스 융합 | 중국 판호 발급 제한 |
구독형 BM 성장 | 플랫폼 수수료 부담 (애플·구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