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남북경협 테마 과거 급등기
남북경협 테마주는 정치 이벤트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대표적인 이벤트 드리븐(Event-Driven) 테마입니다. 남북관계가 개선될 조짐을 보일 때마다 시장에서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급등 시기들입니다:
시기 | 핵심 이벤트 |
① 2000년 1차 남북정상회담 | 김대중-김정일 정상회담 |
② 2007년 2차 남북정상회담 | 노무현-김정일 정상회담 |
③ 2018년 남북미 정상외교 | 문재인-김정은-트럼프 회담 |
④ 2020년 단기 기대감 | 코로나 이후 교류 재개 기대 |
⑤ 2023~2024년 간헐적 순환급등 | 정치적 이벤트성 뉴스 반복 |
2. 주요 급등기별 종목 사례 분석
① 2000년 1차 남북정상회담 (2000.06)
대표 대장주: 현대건설, 현대엘리베이터
주요 특징: 현대그룹의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논의 시작
주요 상승 종목 및 사례:
종목 | 상승 사례 |
현대건설 |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등 남북 사업권 보유로 수혜 예상, 단기간 3배 이상 상승 |
현대엘리베이터 | 현대그룹 계열 중 경협 핵심 기대감, 2~3배 상승 |
도화엔지니어링 | 북한 토목 인프라 사업 수혜 기대감으로 급등 |
남광토건 | 토목 인프라 확대 수혜주로 단기 급등 |
이 시기에는 현대그룹이 거의 독보적인 경협 대장주로 평가되었습니다.
② 2007년 2차 남북정상회담 (2007.10)
대표 대장주: 신원, 좋은사람들, 남해화학
주요 특징: 개성공단 본격 가동, 의류·농업 분야 부각
주요 상승 종목 및 사례:
종목 | 상승 사례 |
신원 | 개성공단 의류공장 운영 경험으로 급등, 2~3배 상승 |
좋은사람들 | 속옷 제조업으로 경협 확대 기대, 약 150% 상승 |
남해화학 | 비료 수요 확대 기대감, 100% 이상 상승 |
경농 | 농약 수출 기대감으로 동반 상승 |
코데즈컴바인 | 의류 관련 기대감으로 단기 급등 |
이 시기부터 농업, 의류 등 생활협력 분야까지 관심이 확장되었습니다.
③ 2018년 남북미 정상외교 (2018.4 ~ 2018.6)
대표 대장주: 신원, 현대엘리베이터, 남광토건, 제이에스티나
주요 특징: 판문점 선언,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주요 상승 종목 및 사례:
종목 | 상승 사례 |
신원 | 개성공단 재개 기대감, 약 3배 급등 |
현대엘리베이터 | 경협 핵심 상징주, 2배 이상 급등 |
남광토건 | 북한 SOC 투자 확대 수혜 기대, 급등 |
제이에스티나 | 북한 관광 활성화 기대감으로 테마 편입되어 단기 급등 |
경농, 남해화학 | 농업 교류 수혜 기대감으로 동반 상승 |
한국전력 | 전력망 연계 기대감으로 순환매 발생 |
이 시기는 남북경협 테마주 역사상 가장 폭발적 순환매 장세가 형성되었던 시점으로 평가됩니다.
④ 2020년 코로나 이후 일시적 기대감
대표 대장주: 신원, 경농, 스페코
주요 특징: 코로나 종식 후 교류 재개 기대
주요 상승 종목 및 사례:
종목 | 상승 사례 |
신원 | 개성공단 재개 기대감 반복 순환매 |
경농 | 북한 농업지원 루머로 단기 급등 |
스페코 | SOC 장비 공급 기대감 |
⑤ 2023~2024년 간헐적 뉴스 순환 급등
대표 대장주: 좋은사람들, 스페코, 남광토건
주요 특징: 정치 뉴스에 따라 순환 급등 반복
종목 | 상승 사례 |
좋은사람들 | 정치테마+경협 기대감으로 단기 급등 |
스페코 | 토목 장비 수요 확대 기대 |
남광토건 | 대선 및 외교 이슈때마다 반복적 순환 급등 |
3. 남북경협 테마 대장주, 주도주 계보 정리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2000년 | 현대건설, 현대엘리베이터 | 도화엔지니어링, 남광토건 |
2007년 | 신원, 좋은사람들 | 남해화학, 코데즈컴바인, 경농 |
2018년 | 신원, 현대엘리베이터 | 남광토건, 제이에스티나, 남해화학 |
2020년 | 신원 | 경농, 스페코 |
2023~2024년 | 좋은사람들, 스페코 | 남광토건, 제이에스티나 |
4. 투자 시사점
- 남북경협 테마는 실적보다는 정치 뉴스에 의존하는 심리적 테마입니다.
- 이 테마는 종목별 계보가 명확하게 형성되어 반복적인 순환매를 보입니다.
- 테마 초기에는 현대엘리베이터-현대건설 중심, 이후 신원-좋은사람들 중심으로 대장주가 바뀌어왔습니다.
- 인프라 → 의류 → 농업 → 의료 순으로 2차·3차 수혜주가 확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