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의료AI 테마 과거 급등시기 대장주와 주도주 변천사

    작은연못 16 회 2025-06-14

  • 

    의료AI 테마는 비교적 최근 형성된 성장 테마이지만, 그 안에서도 몇 차례 주요 급등기가 존재하였습니다. 이 급등기는 대체로 기술적 진보, 정부정책, 글로벌 바이오AI 이슈, 코로나19 팬데믹 등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면서 전개되어 왔습니다.

     

    1차 : 2018~2019년 초반 — 의료AI 초기 테마 형성기

    ● 배경

    •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전략에서 의료AI가 국가전략산업으로 부각됨
    • 유전체 분석 및 영상 AI 초기 상용화 시도
    • 코스닥시장 바이오 붐의 여파

     

    ● 주요 급등 종목

    •  
    대장주특징
    루닛 (비상장 당시, 투자유치 이슈로 관심)유방암, 폐암 영상 AI 진단으로 글로벌 학회 발표 주목
    뷰노 (비상장 당시)영상 AI 솔루션 다각화로 기술적 주목
    랩지노믹스NGS 기반 유전자진단 확장 기대감
    엔젠바이오 (비상장 당시)유전자패널 기술 부각

     

    • 이 시기는 비상장 의료AI 기업들의 기술 공개 및 투자유치가 뉴스로 나와서 상장 바이오주들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 본격 상장사는 적었지만 랩지노믹스가 비교적 대표주로 주목받기 시작합니다.

     

    2차 : 2020년 — 코로나19 팬데믹 + 디지털헬스케어 붐

    ● 배경

    • 코로나 팬데믹으로 의료AI 수요 급증
    • 비대면 진료, 원격진료 활성화 기대감
    • 글로벌 빅테크(구글, IBM Watson) 의료AI 투자 부각

     

    ● 주요 급등 종목

    •  
    대장주특징
    랩지노믹스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 호황, 유전체 AI 기술 결합 기대감 부각
    셀바스AI음성기반 의료AI로 부각되며 AI플랫폼 테마 중 대장 역할
    메디아나생체신호 모니터링 수요 급증
    이지케어텍병원 IT 시스템 수요 폭증
    루닛 (여전히 비상장)폐렴·코로나 관련 영상 AI 기술로 글로벌 뉴스 다수 등장

     

    • 이 시기 의료AI는 "진단 → 모니터링 → 병원IT"까지 범위가 확장됩니다.
    • 특히 랩지노믹스가 2020년 최대 대장주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3차 : 2021년 — 상장 확대와 의료AI 본격 투자 시기

    ● 배경

    • 루닛·뷰노·제이엘케이 등 본격 상장
    • 정부 K-의료AI 육성 정책 발표
    • 글로벌 디지털헬스케어 IPO 붐

     

    ● 주요 급등 종목

    •  
    대장주특징
    루닛 (2021년 말 상장, 2022년 본격 급등)AI 영상진단 글로벌 1위 기업 도약
    뷰노골연령, 병리조직 AI 진단 상용화 진행
    제이엘케이영상 AI 솔루션 다품목 확보
    코어라인소프트폐암 검진 AI로 국가검진 프로젝트 진입
    딥노이드병원용 영상AI 플랫폼 사업화

     

    • 이 시기 루닛이 시장의 새로운 절대 대장주로 등극하게 됩니다.
    • 뷰노와 제이엘케이는 중소형 주도주 역할 수행
    • 의료영상AI 영역이 테마의 주축으로 자리잡습니다.

     

    4차 : 2023년 — 생성형AI 붐과 의료AI 확장 기대

    ● 배경

    • ChatGPT 등장 → 생성형AI가 의료분야 적용 확장 이슈 부각
    • 바이오 빅데이터, 유전체 AI, 의료음성 AI 관심 확대

     

    ● 주요 급등 종목

    •  
    대장주특징
    루닛연속적 글로벌 파트너십 (GE Healthcare 등)
    셀바스AI생성형AI·의료음성 플랫폼 확대 기대감
    뷰노글로벌 유통망 확대 및 AI 솔루션 CE 인증 확대
    쓰리빌리언유전체 기반 희귀질환 AI 진단 부각
    모아데이타이상징후탐지 AI 엔진 활용 확대

     

    • 이 시기 의료AI는 **"의료AI + 생성AI"**라는 확장성 테마로 시장에서 부각되었습니다.
    • 셀바스AI가 두 번째 대장주로 부상, 단기적으로는 루닛과 쌍두마차 구도.

     

    5차 : 2024~2025년 — 글로벌 진출과 규제완화 기대

    ● 배경

    • K-의료AI 미국, 유럽 진출 확대
    • 규제 샌드박스 통과 기업 다수 발생
    • 바이오·AI 융합형 ETF 신설

    현재 대장주 지형

    •  
    대장주특징
    루닛 (절대강자)미국 FDA 승인, GE·필립스 협력
    셀바스AI (음성AI 주도)의료음성 플랫폼 다수 도입 확대
    뷰노 (조금 뒤를 따름)병리조직 AI, 뇌졸중 AI 등 다각화

     

    • 루닛은 글로벌 진출 성공으로 독보적 절대 대장주로 확립되었습니다.
    • 셀바스AI는 의료AI를 넘어 GPT류 자연어 AI와 융합 중.
    • 이후에는 **데이터 융합 기업 (쓰리빌리언, 파로스아이바이오, 온코크로스 등)**도 차세대 후보군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리 표 (시간 흐름 요약)

    •  
    시기대장주주요 테마
    2018~2019랩지노믹스유전체 AI 초기 성장
    2020랩지노믹스, 셀바스AI코로나 진단 확대, 병원IT 붐
    2021루닛, 뷰노, 제이엘케이의료영상AI 중심 상장 본격화
    2023루닛, 셀바스AI생성형AI 융합, 글로벌 수출
    2024~2025루닛 (절대강자), 셀바스AI글로벌 본격 진출, 규제완화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