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방위산업 테마주 급등시기와 대장주 주도주의 변화

    작은연못 14 회 2025-06-13

  • 

    방위산업 테마주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과거 여러 차례 대형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급등과 조정을 반복해왔습니다. 그 중심에는 지정학적 긴장 고조, 북한 리스크, 미사일 도발, 국제 분쟁, 무기 수출 확대, 국방예산 확대, 정부의 방산정책 변화 등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과거 방산 테마주들의 주요 급등 시기와 당시 대장주·주도주 흐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차: 2006~2007년 — 북한 핵실험과 첫 방산테마 부각기

     

    주요 배경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2006.10) → 한반도 안보위기 급부상

    방산 산업이라는 개념이 국내 증시에서 본격 테마화되기 시작한 시기

     

    당시 대장주/주도주

    빅텍 : 방산 테마 초기 대표 수혜주 (전자전 대응장비, EMP 관련 기대감)

    스페코 : 포탄·탄약 부품 제조로 주목

    풍산 : 실탄·탄약 대표 제조사로 성장성 부각

    퍼스텍 : 방산 장비 제작업체로 군납 기대감

     

    특징

    당시에는 소형 부품·소재 납품 업체 중심으로 급등

    대형 방산 종목보다는 소형주 중심으로 투기적 매매세 활발

     

    2차: 2010~2013년 — 연평도 포격, 천안함 사건, 북핵 위협 고조기

     

    주요 배경

    2010년 천안함 침몰 → 연평도 포격(2010.11) → 국지전 우려 고조

    북한 미사일 도발 지속, 남북 긴장 고조

     

    당시 대장주/주도주

    빅텍 : EMP·전파차단 장비 기대감 재부각 → 대표적 급등주

    스페코 : 함포·포탄 부품 이슈로 동반 상승

    풍산 : 지속적 탄약 수요 증가 기대

    한일단조 : 전차 부품, 포탄 부품 공급 업체로 부각

     

    특징

    전통 빅텍-스페코-풍산 라인업 반복 상승

    일부 신규 방산 관련주(예: 한일단조, 퍼스텍)도 급등

    이 시기부터 북한 리스크 발생 시마다 방산주는 단기 급등-조정 패턴이 일반화됨

     

    3차: 2016~2017년 — 사드 배치 갈등 및 북핵 6차 실험기

     

    주요 배경

    2016년 사드(THAAD) 배치 결정 → 중국 보복 → 한중 갈등 고조

    북한 5차(2016), 6차(2017) 핵실험 강행

     

    당시 대장주/주도주

    한화시스템 : 통신·레이더 분야 기대감

    LIG넥스원 : 미사일, 유도무기 대표주로 성장

    빅텍, 스페코 : EMP·포탄 부품주로 단기 급등 반복

    풍산 : 꾸준히 장기 우상향

     

    특징

    대형 방산주의 비중 증가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등장)

    수출 기대감과 첨단 유도무기 기술 성장으로 기관·외인 참여 증가

    빅텍-스페코는 여전히 단기투자 심리의 상징적 종목군 유지

     

    4차: 2022~2023년 — 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방산 수출 붐

     

    주요 배경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2022.2~) → 전 세계 국방비 확대

    한국 방산기업 대규모 수출 계약 체결 (폴란드, 호주, UAE 등)

     

    당시 대장주/주도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글로벌 K9 자주포·K2 전차 수출 수혜

    한국항공우주(KAI) : FA-50 수출 호황

    한화시스템 : 첨단 방산전자, 위성·UAM 이슈 부각

    LIG넥스원 : 미사일·정밀유도무기 대표 성장주

    풍산 : 탄약 수출 급증

     

    특징

    한국 방산주 최초로 대형주 주도 강세

    외국인·기관 동반 매수 유입

    방산주가 성장산업으로 재평가되는 시기

     

    5차: 2024~2025년 — 지정학 리스크 상시화 및 K방산 글로벌화 심화

     

    주요 배경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대만해협 긴장, 북한 무력시위, 미·중 신냉전

    K방산 수출 성공사례 확산 및 한화 중심으로 글로벌 M&A 확장

     

    현재 및 최근 대장주/주도주

    한화그룹 방산 3총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LIG넥스원 : 미사일 주권 확보 이슈 지속

    KAI : KF-21·FA-50 글로벌 판매 호조

    풍산 : 미국·NATO 탄약 수출 지속 성장

    신성 강세군 : 제노코, 쎄트렉아이, 이노시뮬레이션, RF 관련주 (첨단 신기술 기반 부각)

     

    특징

    방산주가 투기적 단기 급등주가 아니라 구조적 성장주로 재평가되는 전환점

    글로벌 지정학 불확실성 → 방산주가 반영하는 시세 탄력성 확대

    첨단 전자전·우주·UAM·AI 기반 신기술 방산주 점진 부상

     

    전체 주도주 흐름 요약표

     

     

    

     

    시기주도 이슈대장주
    2006~2007북핵 1차빅텍, 스페코
    2010~2013천안함, 연평도빅텍, 스페코, 풍산
    2016~2017사드·북핵 6차LIG넥스원, 한화시스템, 빅텍
    2022~2023우크라이나 전쟁한화에어로스페이스, KAI, LIG넥스원
    2024~2025K방산 글로벌화한화 3총사, LIG넥스원, 쎄트렉아이 등

     

     

     

    이 흐름을 보면 방산 테마는 매번 한반도 및 국제정세와 동반 상승해왔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주도주가 소형주 → 대형주 → 첨단 방산주로 진화해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