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 테마에서 과거 수년간 실제로 있었던 급등 시기별 주도주와 대장주 변천사를 시간 순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특징인 기술 도입 트렌드, 신사업 부각, 글로벌 수출 성장, 팬데믹 특수 등을 반영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의료기기 테마의 대장주·주도주 변천사
① 2015년~2017년 : "임플란트·진단기기 수출 성장 초기"
대장주 : 덴티움, 바텍, 디오
주도주 특징
이 시기에는 국내 치과 임플란트 산업이 중국 및 아시아 수출 확대를 본격화하던 시기였습니다. 정부의 헬스케어 수출 정책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 덴티움 : 중국·러시아 시장 확장, 매출 폭발적 증가
- 바텍 : 치과용 영상장비 CT, 파노라마 장비로 세계 점유율 급상승
- 디오 : 디지털 임플란트와 네비게이션 시스템 선도
부수적 테마 확장 : 이때부터 인터로조(콘택트렌즈), 메타바이오메드(치과소재)도 해외 매출 증가로 주목받기 시작합니다.
② 2018년~2019년 : "AI 헬스케어·재활 의료기기 부각"
대장주 : 루닛, 뷰노, 큐렉소, 리메드
주도주 특징
정부가 디지털헬스케어, 의료 AI를 차세대 산업으로 육성하면서 AI 기반 영상진단 기업들이 급부상합니다. 동시에 고령화와 재활의료 수요가 겹치며 재활기기 기업들도 주목받습니다.
- 루닛 : AI 기반 영상진단 기술 FDA 진출 이슈
- 뷰노 : 국내 최초 AI 의료영상 허가
- 큐렉소 : 의료 로봇 재활분야 독점 기술 부각
- 리메드 : 신경자극기 등 미국 수출 성과 부각
AI 초입 테마 형성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③ 2020년~2021년 (코로나 팬데믹 시기) : "진단키트·방역·원격의료 초대형 급등기"
대장주 : 휴마시스, 수젠텍, 오상헬스케어, 바디텍메드, 프리시젼바이오
주도주 특징
코로나19로 진단키트 수요가 폭증하면서 진단시약 기업들이 단숨에 대장주로 올라섰습니다.
- 휴마시스 : 신속항원키트 글로벌 판매 폭발
- 수젠텍 : 항체 진단키트로 유럽·미국 진출
- 오상헬스케어 : 분자진단 및 PCR 검사 장비 수출 폭발
- 바디텍메드 : 면역진단 기반으로 매출 확대
- 프리시젼바이오 : POCT(현장진단) 시스템으로 부각
의료기기 테마 사상 최대 거래량과 시가총액 기록
④ 2022년~2023년 : "진단주 조정, AI·로봇·재생의료 재부각"
대장주 : 루닛, 뷰노, 큐렉소, 엘앤씨바이오, 파마리서치, 클래시스
주도주 특징
코로나 진단주가 조정을 받으면서 새로운 성장축으로 이동합니다.
- 루닛 : AI 영상진단의 세계적 성과 (GE헬스케어 제휴 등)
- 뷰노 : 미국·유럽 인허가 확대
- 큐렉소 : 로봇 수술기 수출 확대
- 엘앤씨바이오 : 조직이식재 해외 진출
- 파마리서치 : 피부재생 의료소재, 필러 등 성장
- 클래시스 : 미용 의료기기 글로벌 확장
AI-재생의료-미용의료가 의료기기 내 신성장 3대축으로 이동
⑤ 2024년~2025년 상반기 (현재까지 흐름) : "AI+빅데이터 중심의 글로벌 헬스케어 경쟁 본격화"
대장주 : 루닛, 파마리서치, 엘앤씨바이오
주도주 특징
- 루닛 : AI 영상진단 글로벌 파트너 확장 (GE, 필립스 협력 등), 일본·유럽 진출 본격화
- 파마리서치 : 고수익성 필러·PDRN 재생소재 사업이 글로벌 히트
- 엘앤씨바이오 : 북미 재생이식 수출 및 기술제휴 확대
- 뷰노·제이엘케이 등도 빅데이터 기반 진단 보조솔루션 다각화 진행 중
- 큐렉소·티로보틱스·미래컴퍼니 로봇기기 확대
전체 의료기기 테마에서 AI 융합 솔루션이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정리 흐름표
시기 | 대장주 핵심군 |
2015~2017 | 덴티움, 바텍, 디오 |
2018~2019 | 루닛, 뷰노, 리메드, 큐렉소 |
2020~2021 | 휴마시스, 수젠텍, 오상헬스케어, 바디텍메드 |
2022~2023 | 루닛, 뷰노, 큐렉소, 엘앤씨바이오, 파마리서치, 클래시스 |
2024~2025 | 루닛, 파마리서치, 엘앤씨바이오 |
이렇게 의료기기 테마의 대장주 역사는 크게..
진단 → AI → 재활·재생 → 글로벌 AI+소재 융합 구조로 진화해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