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 테마란, 병원, 진료소, 연구소 등에서 환자의 진단, 치료, 모니터링, 재활, 검사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비 및 부품을 제조·개발하는 기업들을 포함하는 투자 테마입니다. 이 분야는 크게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진단 및 검사 장비
- 치료 및 시술 장비
- 수술 및 정형외과 기기
- 재활 및 헬스케어 기기
- 바이오 소재 및 조직공학
- AI·소프트웨어 기반 의료솔루션
- 기타 원천소재·부품·장비(B2B)
의료기기 테마 관련 종목 분류
1. 진단·검사 장비 및 시약 기업
진단 플랫폼 및 진단기기 | 체외진단시약 |
오상헬스케어 | 수젠텍 |
프리시젼바이오 | 퀀타매트릭스 |
디알텍 | 프로티아 |
뷰웍스 | 휴마시스 |
바디텍메드 | 제놀루션 |
디알잼 | 플라즈맵 |
세운메디칼 | 디오 (부분 포함) |
루닛 (AI 영상진단) | 랩지노믹스 (유전자 진단 포함) |
뷰노 (AI 영상진단) | |
레이언스 | |
레이저옵텍 | |
특징: 질병 조기 진단 수요 증가로 꾸준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루닛·뷰노·랩지노믹스는 AI 진단 부문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출처 입력
2. 수술 및 시술용 의료기기 기업
치과·정형외과·수술기기 |
덴티움 (치과 임플란트) |
디오 (임플란트 포함) |
바텍 (치과용 CT·파노라마 장비) |
인터로조 (콘택트렌즈 제조) |
코렌텍 (인공관절) |
오스테오닉 (정형외과용 금속 임플란트) |
엠아이텍 (내시경 스텐트) |
클래시스 (미용 의료장비) |
제테마 (보툴리눔 톡신·필러) |
제이엘케이 (영상진단 AI 포함) |
레이저옵텍 (피부·미용 시술기기) |
아스테라시스 (피부미용 레이저) |
특징: 고령화 사회와 미용시장 확대의 수혜를 받으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출처 입력
3. 재활·물리치료·헬스케어 기기 기업
헬스케어·재활기기 |
리메드 (재활 자극기기) |
자이글 (홈헬스케어 기기) |
미래컴퍼니 (내시경 등 정밀기구) |
메디아나 (환자감시장치) |
맥아이씨에스 (호흡치료기) |
유비케어 (의료정보시스템 HIS) |
인바디 (체성분 분석기) |
리가켐바이오 (재활 바이오소재) |
큐렉소 (로봇재활 시스템) |
아이빔테크놀로지 (시뮬레이션 교육기기) |
특징: 만성질환 증가와 노인복지 확대에 따른 시장 성장세가 두드러집니다.
출처 입력
4. 바이오소재·조직공학·소모성 소재 기업
조직공학·소모성 소재 |
엘앤씨바이오 (조직이식재) |
메타바이오메드 (치과·정형외과용 소재) |
티앤엘바이오팹 (3D 바이오프린팅) |
티앤엘 (상처치료 패치) |
한스바이오메드 (보형물, 조직공학) |
바이오플러스 (필러 및 조직이식재) |
파마리서치 (PDRN 등 피부재생 소재) |
피앤에스미캐닉스 (정형외과 소재) |
알파녹스 (바이오소재) |
바이오비쥬 (렌즈 등 미용소재) |
특징: 고부가가치 바이오소재 분야로 해외 매출 비중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출처 입력
5. AI·빅데이터 기반 의료 소프트웨어 기업
AI 의료솔루션 |
루닛 |
뷰노 |
제이엘케이 |
딥노이드 |
코어라인소프트 |
씨어스테크놀로지 |
특징: 영상 판독, 진단 보조 AI로 글로벌 의료시장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출처 입력
6. 부품·소재·기반 부품 장비기업 (B2B 비중)
소재·부품 장비 |
원익 (반도체 및 정밀부품) |
아이센스 (혈당측정센서 등) |
아이쓰리시스템 (적외선 센서 등) |
피제이전자 (센서부품 등) |
한국비티비 (이온교환막, 정밀소재) |
더블유에스아이 (초음파 장비부품) |
동운아나텍 (모션제어 IC) |
윈텍 (전자부품 제조) |
특징: 의료기기 완성품 업체에 핵심 부품을 공급하며 고부가가치를 창출합니다.
출처 입력
7. 기타 제약·융합형 의료 관련 기업
기타 연관 기업 |
대원제약 |
한독 |
HLB |
한국비엔씨 |
더바이오메드 |
바이오다연 |
아스타 |
더블유에스아이 |
라메디텍 |
로킷헬스케어 |
특징: 일부 기업은 의료기기와 바이오신약을 융합하는 사업모델을 추구하며, 융합의료 산업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출처 입력
의료기기 테마의 종합적 특징
-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 → 전반적 수요 확대
- 기술융합 (AI, 로봇, 3D프린팅) → 고부가가치화 가속
- 소프트웨어·데이터 기반 헬스케어의 부상 → 영상진단, 모니터링, 원격진료 확장
- 수출 및 글로벌 시장 확장성 보유 → 일부 기업 해외 매출비중 50% 이상
투자 시 유의사항
- 규제와 인증 이슈 (FDA, CE 인증 등)
- 제품 라인업 다각화 여부
- 기술 고도화 및 연구개발 성과
-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십 동향
- 고정비·설비투자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