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비만치료제 테마주들의 변천사와 급등사례/ 대장주 주도주 살펴보기

    작은연못 13 회 2025-06-16

  • 

    비만치료제 테마의 대장주 변천사와 급등 사례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술형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이 분야는 신약개발이라는 특성상 비교적 최근 3~5년 사이에 본격적인 급등 흐름이 시작되었으며, 글로벌 빅파마의 움직임과 한국 바이오 기업들의 파이프라인 진전이 맞물려 흐름이 만들어졌습니다.

     

    1단계 : 비만치료제 테마의 초기 태동기 (2017년 ~ 2020년)

    이 시기에는 글로벌에서 비만치료가 독립된 테마로 크게 주목받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노바노디스크의 GLP-1 기반 당뇨병 치료제가 비만치료로 적응증을 확장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고, 한국 시장에서는 일부 건강기능식품, 원료의약품 업체 중심으로 비만관리 제품을 개발하는 정도에 머물렀습니다.

     

    주요 종목군

    • 광동제약 (헛개차, 건강기능식품)
    • 대봉엘에스 (비만 원료소재 공급)
    • 대원제약 (일반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부문 성장)

     

    이 시기의 특징

    • 순수한 비만치료제 개발 테마주는 사실상 없었음
    • 건강관리, 웰빙 소비 트렌드 정도만 제한적 반영

     

    2단계 : 글로벌 GLP-1 혁신 등장과 한국 초기 반응 (2021년 ~ 2022년)

    이 시기는 노바노디스크의 ‘위고비(Wegovy)’와 일라이릴리의 ‘제폴지(Zepbound)’가 임상에서 폭발적 체중감소 효과를 입증하며 세계적 관심이 폭발한 시기입니다. 이 성공을 계기로 국내에서도 펩타이드·GLP-1·RNA 플랫폼 기반의 신약개발 스타트업과 바이오기업들이 속속 비만치료제 연구에 뛰어들기 시작합니다.

     

    급등 종목 사례

    • 펩트론 : 지속형 펩타이드 전달기술 기반의 비만치료제 가능성 부각 → 2021년~2022년 수차례 단기 급등
    • HLB펩 / HLB제약 : HLB그룹의 펩타이드 신약 연구 확대 → 시장 관심 증가
    • 올릭스 : RNA 기반 대사질환 신약 파이프라인 부각 → 2021년 하반기 급등
    • 고바이오랩 : 장내미생물 기반 비만치료제 공동개발 이슈로 2022년 초 단기 급등

     

    이 시기의 대장주 특징

    • 바이오 신약 초기개발 기업 중심으로 변동성이 확대
    • 임상 진입 초기기업들이 기대감으로 급등락 반복

     

    3단계 : 국내 비만치료제 본격화와 글로벌 이슈 반영기 (2023년)

    이 시기는 본격적으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글로벌 흐름을 따라잡기 위해 비만 파이프라인 확대 발표가 이어지면서 본격적인 비만치료제 테마주 장세가 출현합니다. 동시에 국내 언론에서도 '한국판 위고비 찾기'라는 키워드가 등장합니다.

     

    급등 종목 주요 사례

    • 대웅제약 : SGLT-2 및 GLP-1 유사계열 치료제 개발 발표 → 2023년 상반기 강세
    • 한미약품 : 글로벌 빅파마와의 라이센스 아웃 기대감 부각 → 2023년 여름 단기 급등
    • 아이큐어 : GLP-1 경피패치 개발 이슈 부각 → 2023년 상반기~하반기 급등
    • HLB펩, 올릭스, 펩트론 : 파이프라인 진전 뉴스마다 단기 급등 반복

     

    이 시기의 대장주 특징

    • 기존 바이오테마주에서 비만 신약 파이프라인 발표 여부가 핵심 변수로 작용
    • 글로벌 빅파마의 GLP-1 매출 호조가 국내 기업 주가에도 파급

     

    4단계 : GLP-1 대세화 → 국내 대형주 합류 (2024년 ~ 2025년 현재)

    현재 시점은 전 세계적으로 비만치료제가 "혁신적 블루오션"으로 확고히 자리잡은 시기입니다. 국내에서도 대형 제약사까지 이 시장에 적극 진출하며 테마가 확장되었습니다.

     

    대장주 급부상

    • 유한양행 : GLP-1 개발 파트너십 체결, 대형제약사 중 선두 주자로 부각
    • 대웅제약 : SGLT-2 계열의 메트포르민 복합제 매출 호조, 해외진출 가시화
    • 한미약품 : 지속형 주사제 플랫폼 기반으로 글로벌 협력 강화
    • HLB펩, 올릭스 : 글로벌 임상 진입 가능성 부각 → 장기적 기대감 유지
    • 아이큐어 : 패치형 전달시스템 차별성으로 재평가

     

    최근 단기 급등 사례

    • 2024년 하반기~2025년 상반기 동안 위 종목들 중심으로 테마 순환 상승
    • 글로벌 GLP-1 원료 부족 → 국내 위탁생산업체 기대감으로 대봉엘에스, 시너지이노베이션 등 원료주도 단기 급등
    • 일부 건강기능식품 기업들도 테마편입으로 단기 과열 현상 연출

     

    요약// 타임라인

    시기대장주특징
    2017~2020광동제약, 대봉엘에스건강기능식품 중심
    2021~2022펩트론, HLB펩, 올릭스, 고바이오랩바이오벤처 주도 급등기
    2023대웅제약, 한미약품, 아이큐어GLP-1 계열 발표 이후 대형 제약주 합류
    2024~2025유한양행, 대웅제약, 한미약품, HLB펩본격 글로벌 비만치료제 경쟁 가세

     

     

    현재와 앞으로의 전망

    현재 비만치료제 테마는 초기 기대감 → 실적 기반 성장 → 글로벌 경쟁 확산이라는 단계를 거치며 성숙기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다음과 같은 변수가 핵심이 될 것입니다.

     

    •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임상 진입 여부
    • GLP-1 계열 외의 차세대 기전 확보 여부
    • 원료의약품 및 위탁생산 부문의 수출 경쟁력
    • 정부의 대사질환 치료 지원 정책 변화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