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STO(토큰증권) 테마의 급등 시기별 주도주·대장주 변천사

    작은연못 12 회 2025-06-16

  • 

    STO 테마는 다른 전통적 테마주와 달리 비교적 최근 등장한 신흥 테마이기 때문에 시세의 역사는 길지 않지만, 몇 차례 뚜렷한 급등기와 주도주의 교체가 있었습니다.

     

    ① 초기 기대감 형성기 (2022년 하반기 ~ 2023년 상반기)

    • 배경: 금융당국(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이 토큰증권 제도 도입을 언급하고 정책 초안을 발표하기 시작
    • 시장 반응: STO 테마의 개념 자체가 시장에 확산
    • 급등 성격: 선도 블록체인, 핀테크, 인증주 중심 기대감 선반영

       

    구분주도주·대장주상승 이유
    갤럭시아머니트리기대감 1차 수혜블록체인 간편결제·디지털자산 결제 솔루션 부각
    다날관련성 부각페이코인 통한 블록체인 결제 플랫폼 보유
    한국정보인증인증·보안주 선반영STO 필수인 신원확인·전자서명 기술 보유
    아톤초기 부각금융기관 인증·보안 솔루션 기술력 부각
    헥토파이낸셜초반 소외, 점진적 부각금융결제 플랫폼 역량으로 관심 상승

     

    ※ 이 시기의 흐름은 "정책 초기 기대감" 중심으로 관련 가능성만으로도 상당한 주가 급등을 보였습니다.

     

    ② 1차 제도화 발표 및 실질 정책화 급등기 (2023년 하반기 ~ 2024년 초)

    • 배경: 금융위의 'STO 가이드라인' 공식 발표 (2023년 2월) → 구체적 제도화 진전
    • 시장 반응: 증권사, 금융지주 등 기존 금융플랫폼이 급등 중심으로 이동
    • 급등 성격: 금융업계 STO 인프라 구축 기대 본격 반영

       

    구분주도주·대장주상승 이유
    한화투자증권대장주 부각자회사 한화자산운용 STO 플랫폼 개발 발표
    NH투자증권주도주STO 파일럿 테스트 참여, 증권형 토큰 시스템 구축 시범사업
    키움증권동반 강세플랫폼 개발 계획 발표
    우리기술투자간접 수혜STO 및 블록체인 기업에 대한 벤처투자 확대
    헥토파이낸셜2차 급등STO 결제·인증 솔루션 기업으로 시장 재평가

     

    ※ 증권사 중심으로 시세가 이동하며 기관투자자들도 진입했던 시점입니다.

     

    ③ 2차 STO 인프라 구축 가속화 + 금융지주 참여 확대기 (2024년 중반 ~ 2025년 상반기 현재)

    • 배경: 금융위 STO 발행 시스템 구축, 다수 시범사업 출범, 민간 협력 플랫폼 론칭
    • 시장 반응: 종목간 순환매 지속, 플랫폼 구축 관련 핀테크 기업 재부각
    • 급등 성격: 시스템 개발·기술 공급 기업 확장 국면

       

    구분주도주·대장주상승 이유
    헥토파이낸셜가장 강한 대장주STO 시스템 구축·결제·인증 원스톱 솔루션 부각
    핑거기술주 급부상STO 발행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유통 플랫폼 개발
    뱅크웨어글로벌금융IT주 부각증권사·금융지주 STO 인프라 시스템 구축 참여
    아톤인증·보안 테마로 재부각STO 핵심 요소인 투자자 인증시스템 강점
    한국정보인증안정적 추세 상승전자서명·인증서 신뢰기반 확대

     

    ※ 이 시기에는 실질 시스템 개발사와 보안·인증 관련 기술주들이 주도권을 재탈환하는 모습이 두드러졌습니다.

     

    전체 흐름 요약

    시기주도 섹터핵심 대장주
    2022년~2023년 초블록체인/결제갤럭시아머니트리, 다날
    2023년 하반기증권사·금융플랫폼한화투자증권, NH투자증권, 키움증권
    2024년~현재금융 IT 인프라·기술주헥토파이낸셜, 핑거, 아톤, 뱅크웨어글로벌

     

     

    STO 테마의 주도주는 "정책 발표 → 금융사 참여 → 인프라 구축 → 기술기업 부각"이라는 흐름으로 계속 확장되고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