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초기 기대감 시기 (2009~2012년) — 삼성 vs LG OLED 경쟁 시작
이 시기는 OLED라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일반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시기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각각 스마트폰용 AMOLED와 TV용 WOLED 개발을 선언하면서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대장주 중심:
- 삼성전자 (AMOLED 패널 개발 선도)
- LG디스플레이 (WOLED TV 패널 상용화 기대감)
초기 주도주:
- 아바코 (OLED 진공장비)
- 선익시스템 (증착장비 초기 진입)
- 주성엔지니어링 (CVD·ALD 장비 납품)
이 시기에는 OLED 장비 기업들이 제한적으로 재료기업보다 먼저 부각되기 시작했습니다.
출처 입력
2단계: 1차 붐 (2013~2015년) — 스마트폰 OLED 대중화 시작
삼성전자가 갤럭시 시리즈에 AMOLED를 본격 적용하고, 중국 업체들도 관심을 보이면서 OLED 테마가 본격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대장주 중심:
- 삼성전자 (갤럭시S, 노트 시리즈 AMOLED)
- LG디스플레이 (OLED TV 라인 증설)
주도주:
- 선익시스템 (증착장비 선도)
- 주성엔지니어링 (CVD·ALD 장비 확대 수주)
- 덕산네오룩스 (OLED 발광재료 원천기술 부각)
- 이녹스첨단소재 (봉지소재 진출)
- 뉴파워프라즈마 (플라즈마 장비 공급 확대)
장비→소재→부품 순으로 주도주의 범위가 확장되었으며, 이 시기부터 소재주의 실적 가시화가 시작됩니다.
출처 입력
3단계: 2차 붐 (2016~2018년) — 아이폰 OLED 채택 수혜
2017년 애플이 아이폰X에 처음으로 OLED를 적용하며 글로벌 OLED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대장주 중심:
- 삼성전자 (아이폰 패널 납품)
- 덕산네오룩스 (소재 대장주)
- 원익IPS (OLED 공정장비)
주도주:
- 선익시스템 (최첨단 증착장비 독점)
- 주성엔지니어링 (고성능 공정장비)
- 필옵틱스 (레이저 커팅 장비)
- 덕산테코피아 (HTL 등 수송층 소재 확대)
- 이녹스첨단소재 (봉지재료 확장)
- PI첨단소재 (폴더블 커버윈도우 소재 부각)
이 시기는 소재주·장비주가 거의 동반 급등하며 OLED 밸류체인 전반이 뜨거운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 무렵 OLED 관련주가 대형 수급주로 성장했습니다.
출처 입력
4단계: 폴더블 초기 기대감 (2019~2020년)
삼성전자의 갤럭시 폴드 시리즈가 등장하고, 폴더블 OLED 수요가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유연소재·정밀장비가 부각되었습니다.
대장주 중심:
-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 이녹스첨단소재 (폴더블용 봉지필름 확장)
- PI첨단소재 (폴리이미드 커버윈도우 독점 공급)
주도주:
- 선익시스템 (초정밀 증착장비)
- 덕산네오룩스 (발광재료 확대)
- 필옵틱스 (레이저 커팅장비)
- 와이엠씨, 브이원텍 (검사장비 부각)
- HB테크놀러지 (결함검사장비 부각)
폴더블이라는 신기술이 OLED 테마에 새로운 투자 스토리를 추가한 시기였습니다.
출처 입력
5단계: 중국 OLED 라인 증설 수혜기 (2020~2022년)
중국 BOE, TCL 등이 대규모 OLED 라인을 증설하면서 국내 OLED 장비·소재업체들의 수출이 증가했습니다.
대장주 중심:
- 원익IPS (중국향 공정장비 확대)
- 덕산네오룩스 (소재 국산화 이슈)
- 선익시스템 (중국향 증착장비 공급 확대)
주도주:
- 주성엔지니어링 (ALD 장비 강세)
- 야스, 에스에프에이 (검사·이송·봉지 장비 확대)
- 탑엔지니어링, 아바코 (공정 장비 보완 확대)
해외 수출이 동반되며 OLED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부각된 시기입니다.
출처 입력
6단계: AI·MR 시대 OLED 수요 확대 기대 (2023~현재 진행형)
AI기기·MR기기·자동차 디스플레이 확대가 진행되면서 OLED는 고급화·초고화질화에 접어들었습니다.
대장주:
- 삼성전자 (AI폰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투자 확대)
- LG디스플레이 (車용 OLED 확대)
- 덕산네오룩스 (소재 최강자 유지)
- PI첨단소재 (MR·폴더블 수혜 지속)
주도주군:
- 필옵틱스 (XR용 레이저 장비 확대)
- 선익시스템 (Micro OLED 증착장비 개발)
- 이녹스첨단소재 (고내구성 봉지소재 부각)
- 원익IPS (초미세공정 OLED 장비 선두)
- 야스, 브이원텍, HB테크놀러지 (검사장비 부각 지속)
현재는 AI·XR·MR과 차량용 OLED 확대가 OLED 테마에 새로운 성장 축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출처 입력
OLED 테마의 장기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초반에는 대형 패널 중심 →
➔ 중반에는 스마트폰 중심 →
➔ 그 다음은 소재와 장비 수출 확대 →
➔ 현재는 폴더블, MR, 차량용 OLED로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