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 / 유기발광다이오드 테마 개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로서, 백라이트가 필요 없는 구조 덕분에 더 얇고 가볍게 만들 수 있으며, 뛰어난 색재현력, 빠른 응답속도, 넓은 시야각 등을 자랑합니다.
특히 스마트폰, TV, 태블릿, 차량용 디스플레이, 가상현실 기기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폴더블, 롤러블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에서도 핵심 부품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OLED 산업은 크게 다음과 같은 밸류체인으로 구성됩니다.
- 패널 제조사
- 장비 업체
- 소재 업체
- 부품 및 부자재 업체
- 검사 및 측정 장비 업체
- 기타 연관기업
1. 패널 제조사 및 완제품 제조사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LG전자
- OLED 패널을 양산하거나 이를 활용한 TV, 스마트폰 등을 생산합니다.
-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중심, LG디스플레이는 TV와 차량용 중심 OLED 패널 제조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합니다.
- LG전자는 OLED TV 등 완제품 제조에 주력합니다.
2. 장비 제조사 (OLED 생산 설비)
AP시스템, APS, 선익시스템, 야스, 에스에프에이, 주성엔지니어링, 톱텍, 제이스텍, 아바코, 베셀, 브이원텍, 디아이티, 필옵틱스, 와이엠씨, 제이엠티, 탑엔지니어링, 디바이스, 티로보틱스, 인베니아, 신도기연, 참엔지니어링, 나래나노텍, 포인트엔지니어링, 티에스이, 파인텍, 핌스, 프로이천, 탑런토탈솔루션
- 이들은 증착기, 레이저커팅장비, 봉지장비, 이물검사기, 레이저패터닝장비 등 OLED 생산공정에 필수적인 장비를 공급합니다.
- 특히 증착장비는 선익시스템·AP시스템·야스가 강점을 보이며, 주성엔지니어링은 원스톱 공정 장비로 유명합니다.
3. 소재 업체 (OLED 유기재료 및 화학소재)
덕산네오룩스, 덕산테코피아, 솔루스첨단소재, 한솔케미칼, 이녹스첨단소재, 나노신소재, 천보, 한켐, 킵스파마, 에스켐, 에이치브엠, 와이투솔루션, 한울반도체
- OLED 발광재료(Emitter), Hole Transport Layer(HTL), Electron Transport Layer(ETL), Encapsulation 소재, 정공·전자 수송층 등 핵심 소재를 공급합니다.
- 덕산네오룩스는 발광재료(EML)에서 국내 최고 강자이며, 이녹스첨단소재는 봉지필름에서, 한솔케미칼은 ETL소재에서 강점을 보유합니다.
- 천보·나노신소재 등은 전자재료 및 소재 다변화를 통해 OLED에서도 입지를 확대합니다.
4. 부품·부자재 및 필름 관련
PI첨단소재, 상아프론테크, 한국컴퓨터, 아이컴포넌트, 한솔아이원스
- 폴더블 OLED에서는 유연한 기판과 커버윈도우가 중요합니다.
- PI첨단소재는 폴리이미드 필름 세계 1위 업체이며, 상아프론테크도 커버윈도우용 부품을 공급합니다.
5. 검사·측정·후공정 장비 업체
HB테크놀러지, HB솔루션, 브이원텍, 미래컴퍼니, 야스, 영우디에스피, F&스테크(에프엔에스테크), 힘스
- OLED 공정은 매우 민감하여 결함검사, 레이저 검사, AOI(자동광학검사) 등이 필수입니다.
- HB테크놀러지, 브이원텍 등이 이러한 검사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6. 플라즈마·진공 장비 및 소재 기업
뉴파워프라즈마, 엘오티베큠, 램테크놀러지, 원익IPS, 원익머트리얼즈, 엘디티
- OLED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인 CVD, ALD, 스퍼터링, 플라즈마 장비와 진공펌프를 공급합니다.
- 원익IPS, 엘오티베큠 등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양쪽 모두에서 활용됩니다.
7. 디스플레이 연관 기타 소재·장비 기업
나인테크, 넥사다이내믹스, 동아엘텍, 에이치브엠, 피엔에이치테크, 피엔티엠에스, 예선테크, 우리넷, 웰킵스하이텍
- 유리기판 이송장비, 절단장비, 연마장비, 정밀기구 등을 공급하며 OLED 라인 구축에 참여합니다.
8. IT 서비스 및 통신계측 연관 기업
디바이스, 야스, 우리넷
- OLED와 직접적 연결은 다소 약하나 생산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장비 등 간접 연관성을 보유합니다.
OLED 테마는 장비-소재-부품-완성품까지 전방위적 밸류체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이 전반적인 밸류체인에서 매우 두터운 기업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폴더블폰, 롤러블TV, IT용 고성능 OLED 확산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