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장비 테마는 대형 2차전지 셀 업체들의 투자 시기, 글로벌 증설 사이클, 기술 변화에 따라 몇 차례 큰 주도주 교체가 이루어져 왔습니다.
1. 2016년~2018년 : 2차전지 장비 1차 붐 (국내 증설 초기)
이 시기는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이 국내에서 본격적인 2차전지 증설 투자를 시작하던 초기 단계입니다.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2016~2018년 | 피엔티 | 엠플러스, 디아이티, 코윈테크, 탑엔지니어링 |
특징 | 전극 코팅, 조립 공정 장비 국산화 진행 | 전극-조립 공정 장비사에 수주 확대 |
- 피엔티 : 전극 코터, 슬리터 분야에서 국산화 성공 → 사실상 1세대 장비 대장주
- 엠플러스 : 조립 공정 스태킹 장비 강자로 부상
- 탑엔지니어링, 코윈테크 : 공정 자동화 및 이송장비 국산화 진입
2. 2019년~2020년 : 전기차 배터리 수출 본격화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2019~2020년 | 엠플러스 | 피엔티, 코윈테크, 브이윈텍, 유일에너테크 |
특징 | 전기차용 원통형/파우치형 장비 대거 수출, 삼성SDI 유럽 진출 | |
- 엠플러스 : 삼성SDI 유럽 투자 수혜 → 스태킹 장비 글로벌 수주 증가
- 피엔티 : 기존 전극 장비 중심 성장 지속
- 유일에너테크 : 조립공정 후공정 자동화 장비 수주 증가
- 브이윈텍 : 검사장비 부각 (외관검사/X-ray 검사 전문성)
3. 2021년 : 글로벌 메가팩토리 시대 개막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2021년 | 에스에프에이 | 피엔티, 유일에너테크, 브이윈텍, 탑엔지니어링 |
특징 | 미국·유럽 2차전지 공장 러시, 턴키 기반 장비사 부각 | |
- 에스에프에이 : 턴키 장비사업 확대, SK온 수주 본격화 → 대장주 자리 탈환
- 피엔티 : 전극 공정 장비의 절대강자 유지
- 탑엔지니어링, 브이윈텍 : 공정별 자동화·검사장비 고도화 수요 확대
4. 2022년 : IRA 수혜 기대감 + 전고체 장비 테마 확대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2022년 | 유일에너테크 | 에이프로, 하나기술, 엠플러스, 브이윈텍 |
특징 | 미국 IRA법 통과 → 미국 공장 진출 장비주 급등 | |
- 유일에너테크 : 파우치형 조립 후공정 전문화 → IRA 수혜주로 급등
- 에이프로 : 충방전 화성 장비 부각 → 테슬라 공급 기대감 부각
- 하나기술 : 스태킹·조립공정 국산화 확대
- 엠플러스 : 미국향 스태킹 수주 기대감 반영
5. 2023년 : 고도화 장비·소재 연계 업체 부상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2023년 | 피엔티 | 이노메트리, 브이윈텍, 탑엔지니어링, 한빛레이저 |
특징 | 검사·레이저·정밀장비로 세분화 확산 | |
- 피엔티 : 미국·유럽 수주 지속, 글로벌 1위 전극장비사로 안착
- 이노메트리 : X-ray 검사장비 국산화 대표주자 부각
- 한빛레이저 : 탭용접 등 레이저 장비 강세
- 브이윈텍 : AI 기반 검사장비로 확장
6. 2024년~2025년 : 저성장기 속 차세대 장비 전환기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2024~현재 | 피엔티·이노메트리 | 티에스아이, 유일에너테크, 하나기술, 엔시스, 한빛레이저 |
특징 | 전고체, 리튬인산철, 신기술 전환 수혜주 중심 | |
- 피엔티 : 전고체 및 리튬인산철 전극 공정 기술력 강화
- 이노메트리 : 고정밀 검사장비 확장 → 리튬인산철 배터리에서도 확대
- 엔시스 : 충방전·화성공정 화성라인 증설에 수혜
- 한빛레이저 : 초정밀 레이저 용접 확대
요약하면...
2016~2018 : 피엔티 → 1세대 국산화
2019~2020 : 엠플러스 → 조립장비 해외확장
2021 : 에스에프에이 → 턴키라인 대형 수주
2022 : 유일에너테크 → IRA, 미국 공장 부각
2023 : 피엔티, 이노메트리 → 검사장비·세부공정 고도화
2024~2025 : 피엔티, 이노메트리 → 전고체·소재특화 전환
이렇게 2차전지 장비 테마는 ‘공정 → 수출 → 턴키 → IRA → 검사·소재·신공정’ 으로 흐름이 진화되어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