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테마는 전 세계적 팬데믹의 심각성, 정부 지원, 글로벌 제약사들의 협력, 임상시험 발표 등에 따라 여러 차례 순환적인 급등이 발생하였습니다.
1단계: 2020년 1분기 (팬데믹 초기 발발 → 초기 기대감 폭발 구간)
시기 특징:
-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초기
- 치료제, 백신, 진단 모두 후보군으로 부각
- 아직 임상 성과보다는 테마 순환과 기대감 중심
-
주요 대장주 및 주도주
종목 | 역할 | 비고 |
신풍제약 | 치료제 기대 대장주 | 피라맥스 코로나19 치료 전환 기대감 |
진원생명과학 | 백신 테마 선두 | DNA 백신 개발 발표 |
제넥신 | 백신 대장주 | DNA 백신 개발로 급등 (현재는 제외됨) |
씨젠 (참고) | 진단키트 대표 | 분자진단으로 진단키트 대장주 역할 |
특징:
- 임상 진입 전 단계, 발표만으로 급등락
- 치료제·백신·진단주가 구분 없이 순환 급등
2단계: 2020년 하반기 (임상 진입 및 글로벌 협력 부각 구간)
시기 특징:
- 글로벌 제약사들과 협력 발표
- 임상시험 개시와 결과 발표 영향력 확대
주요 대장주 및 주도주
종목 | 역할 | 비고 |
SK바이오사이언스 | 글로벌 CMO 기대 대장주 | 노바백스·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위탁생산 |
셀트리온 | 항체치료제 기대주 | 렉키로나 개발 본격화 |
진원생명과학 | 백신 + 치료제 이중 기대 | 변이 대응 DNA 백신 개발 발표 |
유바이오로직스 | 국산 백신주 | 자사 플랫폼 통한 백신개발 참여 |
특징:
- 정부 지원이 집중되며 ‘K-백신’ 개념 부각
- SK바이오사이언스는 단연 테마의 최강 대장주로 부상
3단계: 2021년 상반기 (SK바이오사이언스 상장 이후 하이퍼 급등기)
시기 특징:
- SK바이오사이언스 상장 (3월)
- 글로벌 백신 공급 부족 이슈
- 국산 백신 독자 개발 본격화
주요 대장주 및 주도주
종목 | 역할 | 비고 |
SK바이오사이언스 | 절대적 대장주 | 상장 이후 시총 급등 |
셀트리온 | 치료제 주도주 | 항체치료제 긴급사용 승인 |
아이진, 진원생명과학, 유바이오로직스 | 국산 백신 개발 기대주 | 정부 지원사업 참여로 급등 |
특징:
- SK바이오사이언스가 주도하면서 백신 개발 업체 순환 급등
- 국산 백신 개발에 집중된 기대감
4단계: 2021년 하반기~2022년 초반 (치료제 개발 확대 및 경구치료제 부각)
시기 특징:
- 먹는 치료제 (경구용 치료제) 부각
- 글로벌 치료제 상용화 본격 시작
- 일부 기업 임상 실패, 차별화 시작
주요 대장주 및 주도주
종목 | 역할 | 비고 |
일동제약 | 먹는 치료제 대장주 | 시오노기제약과 협력 |
신풍제약 | 재차 급등 | 피라맥스 추가 기대감 |
샤페론, 압타바이오, 에이비온 | 항염증 및 면역조절 치료제 부각 | 중증 치료제 임상 진입 |
특징:
- 백신 테마가 다소 소강, 치료제 중심 재편
- 일동제약 중심의 경구치료제 테마 형성
5단계: 2022년 말~2023년 이후 (테마 소멸기)
시기 특징:
- 글로벌 집단면역 확대, 엔데믹 선언
- 치료제 및 백신 시장 위축
- 관련 기업 대부분 조정 국면 진입
주요 대장주 및 주도주
종목 | 역할 | 비고 |
일부 저가 순환주 | 단기 이벤트 중심 | 신풍제약, 진원생명과학 등 일시적 급등 |
테마 잔존주 | 저평가 기대감 | SK바이오사이언스 (CMO 성장주로 전환) |
특징:
- 본격적인 코로나 테마주는 소멸
- 일부 기업은 성장성, 플랫폼 기술 기업으로 변신 시도
요약 흐름표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
2020년 초 | 신풍제약 | 진원생명과학, 제넥신 |
2020년 하반기 | SK바이오사이언스 | 셀트리온, 유바이오로직스 |
2021년 상반기 | SK바이오사이언스 | 아이진, 진원생명과학 |
2021년 하반기 | 일동제약 | 샤페론, 압타바이오 |
2022년 이후 | (테마 소멸) | (개별 저가 순환주) |
이처럼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테마는 '팬데믹 충격 → 기대감 확산 → 임상 진입 → 차별화 → 테마 소멸'이라는 교과서적인 순환을 보여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