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테마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 확산, 네트워크 인프라의 고도화, 그리고 콘텐츠 소비 문화의 변화에 따라 여러 차례 주목을 받으며 급등기를 맞이한 바 있습니다.
이 테마는 시대별로 중심 콘텐츠와 플랫폼의 변화에 따라 대장주와 주도주가 수차례 교체되었습니다. 아래에서는 주요 시기별로 테마 급등 배경과 당시의 대표 대장주 및 주도주들의 흐름을 서술하겠습니다.
1차 급등기 (2010~2012년: 스마트폰 대중화 초기)
배경
아이폰과 갤럭시 시리즈를 필두로 스마트폰이 국내에 본격 보급되기 시작
앱스토어 기반 콘텐츠 소비 급증
피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넘어가며 관련 콘텐츠 기업들 수혜
대장주 및 주도주 흐름
다날: 모바일 결제 원조 기업으로 주목, 당시 스마트결제 확대 수혜
KG모빌리언스: 소액결제 사업 확대, 매출 급성장
NHN벅스 (당시 벅스뮤직): 모바일 음악 스트리밍 성장 초기 수혜
컴투스, 게임빌: 모바일 게임 시장 개화기에 따른 주도주 부상
2차 급등기 (2014~2016년: 카카오·웹툰 전성기)
배경
카카오톡 중심의 모바일 생태계 확대
웹툰, 웹소설 플랫폼 대중화 → 모바일 콘텐츠 수익화 모델 정착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가 모바일을 통해 확산
대장주 및 주도주 흐름
카카오: 다음과의 합병 이후, 플랫폼 사업 확장과 콘텐츠 유통 확대
미스터블루, 디앤씨미디어: 웹툰·웹소설 콘텐츠로 큰 주목, 주가 급등
한글과컴퓨터: 모바일 오피스 출시와 교육용 콘텐츠 시장 진출
YBM넷: 모바일 교육 콘텐츠와 관련된 관심 집중
다날: 여전히 모바일 결제 부문에서 강세 유지
3차 급등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콘텐츠 소비 폭발)
배경
재택근무·원격수업·비대면 활동 확산
디지털 콘텐츠 소비 급증
게임, 웹툰, 전자책, OTT, 교육 콘텐츠 전방위 성장
대장주 및 주도주 흐름
컴투스, 컴투스홀딩스: 모바일 게임 사용량 폭증에 따른 수혜
미스터블루, 키다리스튜디오: 웹툰 콘텐츠 수출 및 모바일 플랫폼 성장
NAVER, 카카오: 콘텐츠 플랫폼과 글로벌 진출 강화, 네이버웹툰, 카카오페이지 주목
한컴위드, 포시에스: 원격근무 환경 조성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주목
인포뱅크: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수요 증가로 수혜
4차 급등기 (2022~2023년: 콘텐츠의 글로벌 확장과 웹툰 K-콘텐츠 붐)
배경
K-콘텐츠(웹툰, 게임, 드라마)의 글로벌 인지도 상승
네이버웹툰·카카오픽코마 등 일본·미국에서의 성과
NFT, 메타버스 등 신기술과 콘텐츠 융합 기대감
대장주 및 주도주 흐름
키다리스튜디오: 일본 픽코마 실적 호조, 급등세 주도
미스터블루: 콘텐츠 IP 강화와 해외 수출 성장
폴라리스오피스: 글로벌 SaaS 기반 모바일 오피스 수요 증가로 관심
컴투스: 글로벌 시장 공략과 메타버스 연계 기대감
자이언트스탭: XR 콘텐츠 제작 관련주로 주목받음
셀바스AI: 콘텐츠 플랫폼과 AI 기술 접목 기대
유망 영역과 주도주 변화 / 가능성 있는 테마 흐름
AI와 콘텐츠 결합: 셀바스AI, 한컴위드 등
글로벌 웹툰·웹소설 플랫폼 확대: 미스터블루, 디앤씨미디어, 키다리스튜디오
디지털 교육 콘텐츠: YBM넷, 삼성출판사
OTT·음악 스트리밍 관련 확장: NHN벅스, KT지니뮤직
크리에이터 플랫폼과 연동 기술: 인포뱅크, 자이언트스탭
모바일콘텐츠 테마는 기술 변화, 소비자 행동의 변화, 글로벌 콘텐츠 확산이라는 축을 따라 여러 번의 급등기를 경험해 왔으며, 각 시기마다 산업의 중심축이 달라지면서 대장주와 주도주가 유동적으로 교체되었습니다.
특히 웹툰·웹소설, 게임, 스트리밍, 교육, 결제 등 세부 카테고리별로 각각의 성장 드라이버가 존재하여 세분화된 관점에서의 주도주 추적이 중요한 테마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