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진료 / 비대면진료 / U-Healthcare 테마는 팬데믹 이후 디지털 헬스케어 수요가 폭증하면서 수차례 급등기를 거친 바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 확산, 2021년 원격진료 시범사업 확대 논의, 그리고 2022~2023년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육성 정책 발표 시기마다 강한 테마 흐름을 나타냈으며, 이 과정에서 대장주와 주도주가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1차 급등기: 2020년 2분기 ~ 3분기 (코로나 팬데믹 초기)
배경: 전 세계적인 락다운과 의료기관 방문 회피 현상으로 원격진료와 비대면 헬스케어 솔루션이 급속히 부각되었음. 국내에서도 감염 예방을 위해 전화상담 및 처방 한시적 허용.
대장주:
알서포트: 화상회의 및 원격제어 솔루션 대표 기업으로, 재택근무와 병원 원격 상담 수요가 급증하면서 거래량과 시세가 폭등하였음.
주도주:
비트컴퓨터: 원격의료 솔루션 개발 이력 부각,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시스템 수주 이력으로 상승.
유비케어: 병원용 EMR 및 건강관리 앱 확대 수혜.
인피니트헬스케어: PACS 기반 원격영상 진단 기대감에 동반 상승.
2차 급등기: 2021년 1분기 ~ 2분기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추진 기대감)
배경: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을 제도화하겠다고 밝히며 관련주 전체가 순환 상승세를 보였음.
대장주:
케어랩스: 병원 비대면 예약·접수 플랫폼 ‘굿닥’·‘똑닥’ 운영으로 원격진료 전 과정 연계된 사업 모델 부각. 시장에서 테마 리더로 작용.
주도주:
네오팩트: 원격 재활 플랫폼 사업이 확대되며 코로나 이후 재활치료 분야에 특화된 비대면 진료 테마로 주목.
이지케어텍: 병원 IT 시스템 사업 확장과 원격진료 통합 솔루션 기대감에 상승.
3차 급등기: 2022년 하반기 ~ 2023년 초 (디지털 헬스케어 육성 정책 발표)
배경: 정부의 디지털헬스 및 헬스케어 빅데이터 산업 육성 전략이 발표되면서 비대면 헬스케어 관련 기업들이 다시 부각되었음.
대장주:
제이엘케이: AI 기반 의료 영상 분석 기술로, 디지털 헬스케어 중 ‘AI 진단’ 부문에서 주도적으로 부각됨.
주도주:
뷰윅스, 인피니트헬스케어: 원격 영상 진단 시스템 구축 수혜주로 관심 집중.
마크로젠: 개인 유전체 분석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건강관리 테마가 U-Healthcare 흐름과 맞물려 부각.
4차 미니 랠리: 2023년 말 ~ 2024년 초 (비대면 진료 제도화 시범 확대, 원격 진료 민영화 논의)
배경: 원격의료 민영화 이슈 및 대형 병원 중심의 시범사업 확대 추진 등으로 정책 테마 성격으로 재조명됨.
대장주:
소프트센: 공공의료 시스템 및 클라우드 기반의 병원 플랫폼 공급 실적 부각되며 거래량 폭등.
주도주:
인성정보, 스피어, 씨어스테크놀로지: 병원 IT 및 진단 시스템, 화상 진료 시스템 보유 기업으로 주기적인 순환매 형성.
시기별 주요 종목 흐름
시기 | 주요 이벤트 | 대장주 | 대표 주도주 |
2020년 상반기 | 코로나 팬데믹, 원격진료 한시 허용 | 알서포트 | 비트컴퓨터, 유비케어 |
2021년 상반기 |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논의 | 케어랩스 | 네오팩트, 이지케어텍 |
2022년 하반기 | 디지털 헬스케어 육성 정책 | 제이엘케이 | 뷰윅스, 마크로젠 |
2023년 말 | 원격진료 제도화 논의 확대 | 소프트센 | 인성정보, 스피어 |
이처럼 원격진료 / 비대면진료 / U-Healthcare 테마는 팬데믹과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주기적으로 급등 흐름을 만들어 왔습니다. 특히 시장에서는 단순 화상 플랫폼보다는 병원 연동 시스템, AI 기반 진단, 유전체 분석 등 기술 기반 차별화된 기업들이 중장기 주도주로 부각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향후에도 정부 정책 방향, 원격진료 법제화, 보험 수가 반영 여부에 따라 대장주의 변동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