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원격진료, 비대면진료, U-Healthcare 테마 급등시기 대장주 및 주도주에 관하여..

    작은연못 11 회 2025-06-18

  • 

    원격진료 / 비대면진료 / U-Healthcare 테마는 팬데믹 이후 디지털 헬스케어 수요가 폭증하면서 수차례 급등기를 거친 바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 확산, 2021년 원격진료 시범사업 확대 논의, 그리고 2022~2023년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육성 정책 발표 시기마다 강한 테마 흐름을 나타냈으며, 이 과정에서 대장주와 주도주가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1차 급등기: 2020년 2분기 ~ 3분기 (코로나 팬데믹 초기)

    배경: 전 세계적인 락다운과 의료기관 방문 회피 현상으로 원격진료와 비대면 헬스케어 솔루션이 급속히 부각되었음. 국내에서도 감염 예방을 위해 전화상담 및 처방 한시적 허용.

     

    대장주:

    알서포트: 화상회의 및 원격제어 솔루션 대표 기업으로, 재택근무와 병원 원격 상담 수요가 급증하면서 거래량과 시세가 폭등하였음.

     

    주도주:

    비트컴퓨터: 원격의료 솔루션 개발 이력 부각,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시스템 수주 이력으로 상승.

    유비케어: 병원용 EMR 및 건강관리 앱 확대 수혜.

    인피니트헬스케어: PACS 기반 원격영상 진단 기대감에 동반 상승.

     

    2차 급등기: 2021년 1분기 ~ 2분기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추진 기대감)

    배경: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을 제도화하겠다고 밝히며 관련주 전체가 순환 상승세를 보였음.

     

    대장주:

    케어랩스: 병원 비대면 예약·접수 플랫폼 ‘굿닥’·‘똑닥’ 운영으로 원격진료 전 과정 연계된 사업 모델 부각. 시장에서 테마 리더로 작용.

     

    주도주:

    네오팩트: 원격 재활 플랫폼 사업이 확대되며 코로나 이후 재활치료 분야에 특화된 비대면 진료 테마로 주목.

    이지케어텍: 병원 IT 시스템 사업 확장과 원격진료 통합 솔루션 기대감에 상승.

     

    3차 급등기: 2022년 하반기 ~ 2023년 초 (디지털 헬스케어 육성 정책 발표)

    배경: 정부의 디지털헬스 및 헬스케어 빅데이터 산업 육성 전략이 발표되면서 비대면 헬스케어 관련 기업들이 다시 부각되었음.

     

    대장주:

    제이엘케이: AI 기반 의료 영상 분석 기술로, 디지털 헬스케어 중 ‘AI 진단’ 부문에서 주도적으로 부각됨.

     

    주도주:

    뷰윅스, 인피니트헬스케어: 원격 영상 진단 시스템 구축 수혜주로 관심 집중.

    마크로젠: 개인 유전체 분석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건강관리 테마가 U-Healthcare 흐름과 맞물려 부각.

     

    4차 미니 랠리: 2023년 말 ~ 2024년 초 (비대면 진료 제도화 시범 확대, 원격 진료 민영화 논의)

    배경: 원격의료 민영화 이슈 및 대형 병원 중심의 시범사업 확대 추진 등으로 정책 테마 성격으로 재조명됨.

     

    대장주:

    소프트센: 공공의료 시스템 및 클라우드 기반의 병원 플랫폼 공급 실적 부각되며 거래량 폭등.

     

    주도주:

    인성정보, 스피어, 씨어스테크놀로지: 병원 IT 및 진단 시스템, 화상 진료 시스템 보유 기업으로 주기적인 순환매 형성.

     

     

    시기별 주요 종목 흐름

     

    시기주요 이벤트대장주대표 주도주
    2020년 상반기코로나 팬데믹, 원격진료 한시 허용알서포트비트컴퓨터, 유비케어
    2021년 상반기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논의케어랩스네오팩트, 이지케어텍
    2022년 하반기디지털 헬스케어 육성 정책제이엘케이뷰윅스, 마크로젠
    2023년 말원격진료 제도화 논의 확대소프트센인성정보, 스피어

     

     

    이처럼 원격진료 / 비대면진료 / U-Healthcare 테마는 팬데믹과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주기적으로 급등 흐름을 만들어 왔습니다. 특히 시장에서는 단순 화상 플랫폼보다는 병원 연동 시스템, AI 기반 진단, 유전체 분석 등 기술 기반 차별화된 기업들이 중장기 주도주로 부각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향후에도 정부 정책 방향, 원격진료 법제화, 보험 수가 반영 여부에 따라 대장주의 변동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