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콘텐츠 테마는 국내외 OTT 플랫폼의 성장, 한류 콘텐츠의 확산, 메타버스와 AI 기반 기술의 접목 등 다양한 트리거에 따라 수차례 급등 흐름을 보여왔습니다. 각 시기마다 주도주와 대장주의 성격은 변화해왔으며, 해당 흐름은 콘텐츠 산업의 구조적 성장과 함께 외부 환경(정책, 팬데믹, 플랫폼 협약 등)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다음은 시기별 영상콘텐츠 테마의 급등 사례와 그에 따른 대장주 및 주도주 흐름입니다.
1차 급등기: 2016년 하반기 ~ 2017년 초
트리거: 한류 콘텐츠 수출 급증, '태양의 후예', '도깨비' 등의 대성공
핵심 키워드: 중국시장 진출, 드라마 수출
대장주: 스튜디오드래곤
CJ ENM에서 분사 직후 상장되며 시장의 높은 관심을 받았고, 프리미엄 드라마 제작 능력을 기반으로 대형 제작사로 부상함.
주도주:
초록뱀미디어: 송중기 주연 드라마 ‘태양의 후예’ 수혜주로 부각.
팬엔터테인먼트: ‘사임당 빛의 일기’ 등 한류 콘텐츠 제작 기대감.
NEW: 영화 및 드라마 제작 겸영사로 영화 수익성과 드라마 기대감 부각.
2차 급등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트리거: OTT(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등) 소비 폭증, ‘스위트홈’, ‘킹덤’ 등 K-콘텐츠 글로벌 인기
핵심 키워드: 비대면 콘텐츠 소비, 글로벌 OTT 오리지널 제작 계약 확대
대장주: 스튜디오드래곤
넷플릭스와의 파트너십 강화로 글로벌 콘텐츠 공급 기업으로 재평가.
주도주:
에이스토리: 넷플릭스 오리지널 ‘킹덤’ 제작사로 큰 주목을 받음.
초록뱀미디어: BTS 소속사와 협업 기대감, 한류 콘텐츠 확산 수혜.
위지윅스튜디오: 콘텐츠 제작 및 후반작업(특수효과, 편집 등) 전문성으로 시장 관심 집중.
3차 급등기: 2021년 하반기 ~ 2022년 초
트리거: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글로벌 신드롬, 메타버스 연계 콘텐츠 기대
핵심 키워드: 글로벌 K-드라마 열풍, IP 기반 콘텐츠, 버추얼 프로덕션
대장주: 덱스터
‘오징어게임’ CG를 담당한 회사로 글로벌 히트작의 기술적 기여도가 부각되며 급등.
주도주:
위지윅스튜디오: 콘텐츠 IP 확장, NFT·메타버스 플랫폼 진출 기대.
자이언트스텝: 실감형 콘텐츠, VFX 기술력을 보유한 대표 기업.
SAMG엔터, 캐리소프트: 키즈 콘텐츠 수요 증가와 함께 유튜브 기반 사업 수혜.
4차 급등기: 2023년 하반기 ~ 2024년 초
트리거: 디즈니플러스, 애플TV+, 티빙 등의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 경쟁 격화
핵심 키워드: 플랫폼 오리지널 계약 확대, 콘텐츠 제작 대형화
대장주: SM C&C / 키이스트 / 아티스트스튜디오
카카오·SM 연계 콘텐츠 기획 및 아티스트 기반 제작 확대.
카카오M-카카오엔터의 영상 IP 집중전략에 편입되며 주목.
주도주:
쇼박스: 웹툰·영화·드라마 간 크로스오버 콘텐츠 제작 확대.
포바이포: 오징어게임 시즌2 기대감, 콘텐츠 IP 보유 기반으로 상승.
와이랩: 웹툰 기반 드라마 제작 루트 강화로 콘텐츠 가치 부각.
최근 흐름: 2024년 말 ~ 2025년 상반기
트리거: AI 및 메타휴먼 활용한 영상 제작, AI 콘텐츠 저작권 이슈 대두
핵심 키워드: AI 생성 콘텐츠, 버추얼 프로덕션, 글로벌 협업
대장주: 자이언트스텝 / M83
메타버스 기술, 버추얼휴먼 제작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실현 가능성으로 급부상.
주도주:
KX / 위지윅스튜디오: AI 기반 제작 자동화 및 후반작업 기술 보유.
고스트스튜디오 / 아티스트스튜디오: 고급 IP 기반 콘텐츠의 글로벌 배급 기대감.
애니플러스 / 스튜디오미르: 일본 및 북미향 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 확대.
요약 정리표
시기 | 대장주 | 주요 주도주 (일부 예시) | 특징 요약 |
2016~2017 | 스튜디오드래곤 | 초록뱀미디어, 팬엔터, NEW | 한류 콘텐츠 수출, 드라마 대작 붐 |
2020 | 스튜디오드래곤 | 에이스토리, 위지윅스튜디오, 초록뱀미디어 | OTT 성장과 코로나로 인한 콘텐츠 수요 급증 |
2021~2022 | 덱스터 | 자이언트스텝, 위지윅스튜디오, SAMG엔터 | 오징어게임 대히트, 메타버스 결합 기대감 |
2023~2024 초 | SM C&C, 키이스트 | 쇼박스, 포바이포, 와이랩 | 오리지널 경쟁, 카카오·SM 콘텐츠 집중 |
2024 말~2025 상 | 자이언트스텝, M83 | KX, 고스트스튜디오, 스튜디오미르, 애니플러스 | AI 기반 콘텐츠 제작 전환, 글로벌 배급망 강화 |
영상콘텐츠 테마는 드라마/영화 흥행, 플랫폼 계약, 기술 진보, 정책 변화라는 4가지 주요 요소에 따라 주도주가 바뀌며 순환 상승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향후에는 AI, 버추얼 제작, 해외 공동제작 등 기술과 콘텐츠의 융합이 주도주 선정의 핵심 기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