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바일콘텐츠 테마의 개요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대중화는 콘텐츠 소비의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꾸었습니다. 이제 대부분의 정보, 엔터테인먼트, 교육, 커머스 등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소비되며, 이에 따라 모바일 콘텐츠 산업은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 왔습니다. 이 테마는 스마트폰·태블릿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앱, 게임, 전자책, 스트리밍, 커뮤니케이션 도구 등의 콘텐츠와, 이를 제작·유통·플랫폼화하는 기업들을 포괄합니다.
주요 연관 산업으로는 모바일 게임, 전자출판, 교육 앱, 음악 스트리밍, 영상 콘텐츠, 광고 솔루션, 결제 시스템, 메시징 플랫폼 등이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기업들이 테마주로 편입됩니다.
2. 관련 종목들의 테마 연관성
종목명 | 테마 연관성 설명 |
KG모빌리언스 | 휴대폰 소액결제 및 모바일 결제 솔루션 제공, 콘텐츠 소비와 밀접 |
KT, KT밀링의서재, KT지니뮤직 | 통신기반 콘텐츠 유통, 전자책(밀링의서재), 음악 스트리밍(지니뮤직) |
NAVER | 웹툰, V LIVE, 네이버TV, 스마트스토어 등 다양한 모바일 콘텐츠 운영 |
NHN벅스 | 모바일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벅스’ 운영 |
SK스퀘어 | SK텔레콤의 콘텐츠 자회사 지분 보유, 웨이브, 11번가 등 연계 |
TJ미디어 | 모바일 연동 가능한 노래방 콘텐츠 기기 및 서비스 제공 |
YBM넷 | 모바일 영어 교육 콘텐츠 제공 |
YTN | 모바일 뉴스 콘텐츠 유통 강화, YTN앱 통한 실시간 방송 |
네오위즈홀딩스 | 자회사 네오위즈를 통한 모바일 게임 사업 운영 |
다날 | 모바일 결제 및 콘텐츠 유통 인프라 제공 |
디앤시미디어 | 웹툰·웹소설 IP 기반 콘텐츠 제작 및 유통, 모바일 전자책 시장 관련 |
미스터블루 | 웹툰·웹소설 플랫폼 운영, 카카오페이지 등과 제휴 |
삼성출판사 | 모바일 기반 교육 콘텐츠 및 키즈 앱 서비스 운영 |
셀바스AI | 음성인식, 텍스트 변환 등 모바일 UX 기반 콘텐츠 기술 보유 |
아이톡시 | 웹툰 및 웹소설 콘텐츠 제공, 모바일 기반 콘텐츠 소비 유도 |
인포뱅크 | 모바일 메시징 플랫폼 및 콘텐츠 배포 솔루션 제공 |
자이언트스탭 | AR·VR 콘텐츠 제작, 스마트폰 기반 실감 콘텐츠 사업 진행 |
카카오 | 모바일 중심의 카카오톡, 카카오페이지, 멜론 등 다양한 콘텐츠 플랫폼 보유 |
컴투스, 컴투스홀딩스 | 대표 모바일 게임 개발·퍼블리싱 기업 |
케이티알파 | KT 자회사로 모바일 커머스·콘텐츠 유통 플랫폼 운영 |
키다리스튜디오 | 웹툰·웹소설 콘텐츠 유통 및 글로벌 모바일 플랫폼 운영 |
티사이언티픽 | 콘텐츠 기반 솔루션 제공 및 모바일 플랫폼 연계 사업 |
포시에스 | 전자문서 솔루션, 스마트 디바이스용 모바일 문서 콘텐츠 솔루션 제공 |
폴라리스오피스 | 모바일 기기에서 구동되는 오피스 문서 솔루션 |
플랜티넷 | 모바일 콘텐츠 보안, 유해차단 솔루션 제공 |
핑거스토리 | 웹툰 기반 콘텐츠 제작 및 모바일 유통 사업 진행 |
한글과컴퓨터 | 모바일 한컴오피스, 교육용 콘텐츠 앱 제공 |
한컴위드 | 모바일 보안·전자문서 플랫폼 중심의 콘텐츠 유통 인프라 개발 |
헥토이노베이션 | 모바일 간편결제, 디지털 콘텐츠 정산 솔루션 보유 |
모바일콘텐츠 테마는 콘텐츠 생산자, 유통 플랫폼, 결제·보안 솔루션, 교육 및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유기적으로 얽혀 있는 구조로 형성됩니다. 특히 스마트폰과 태블릿이라는 기기가 일상화된 현대에서는, 이러한 테마에 속한 기업들이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의 핵심 인프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흐름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며, 이와 관련된 기업들의 사업 확장이나 신사업 진출은 시장에서 높은 관심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