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테마는 인체의 건강을 유지·증진하거나 질병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기능성 원료를 포함한 식품을 생산·유통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들로 구성된 주식 테마입니다. 최근 고령화 사회의 도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면역력 강화 수요 확대, 팬데믹 이후 웰빙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이 테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테마에 속한 종목들은 건강기능식품을 직접 제조하거나, 건기식 원료를 개발하거나, 또는 판매·유통 채널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입니다. 아래는 주요 기업들의 테마 관련성을 중심으로 정리한 설명입니다.
1. 건강기능식품 제조 및 판매 중심 기업
- 뉴트리, 뉴온, 프롬바이오, 팜스빌, 휴럼, 모아라이프플러스, 비엘팜텍, 에이치피오, 에이치엘사이언스, 셀로맥스사이언스, 에르코스, 에스앤디
자체 브랜드를 통해 건강기능식품을 기획·생산·판매하며, 다이어트, 면역, 간 건강, 피부 건강, 갱년기 등 다양한 기능성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의 OEM·ODM 전문기업으로 다수의 브랜드사에 제품을 납품하며 국내외 건기식 시장에서 핵심적인 생산기반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전문 기업으로, 장 건강 및 면역 기능 개선에 특화된 건기식 원료 및 제품을 개발합니다.
2. 제약·바이오 기반 건강기능식품 진출 기업
- HK이노엔, 종근당홀딩스, 종근당바이오, 대원제약, 아이진, 메디포스트, 헬릭스미스, 아미코젠, 시너지이노베이션, 경남제약, 케이엠제약, 청담글로벌, 알파바이오
기존 제약 기반 기술을 활용해 건기식 원료를 개발하거나, 별도 브랜드로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HK이노엔의 '컨디션'은 숙취해소 제품으로 유명하며, 종근당바이오와 아미코젠은 발효 기반의 고기능성 원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또는 제약에서 확장하여 피부·호르몬 등 특화 기능성 원료 및 제품을 출시하며 건강기능식품 분야에 적극 진출하고 있습니다.
3. 원료 및 소재 중심 기업
- 딥마인드, 그래디언트, 우리이앤엘, 서흥, 케어젠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주요 원료(펩타이드, 캡슐, 기능성 소재) 등을 개발하거나 공급합니다.
특히 케어젠은 바이오 펩타이드를 활용한 기능성 원료를 공급하며 글로벌 원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냅니다.
자체 농업·발효 기술 기반으로 천연 원료의 표준화 및 기능성 인증을 보유하여 B2B와 B2C를 동시에 공략하고 있습니다.
4. 다각적 사업 구조 내 건기식 포함 기업
주요 사업은 담배, 화장품, 바이오 기반 헬스케어 등이나, 계열사 혹은 자회사를 통해 건기식 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LG생활건강은 '이자녹스', '더히스토리오브후' 브랜드 외에 '리튠'이라는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를 운영 중이며,
KT&G는 인삼과 홍삼 관련 건강식품 브랜드 '정관장'을 보유한 KGC인삼공사를 통해 관련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5. 기타 특수 기능 및 니치시장 진출 기업
안과, 여성 건강 등 특화된 제약 품목 기반으로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갱년기 여성 건강 제품군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건기식 ODM 유통과 수출에 특화되어 있으며, 해외 시장을 주요 고객으로 하고 있는 건기식 수출 플랫폼 기업입니다.
요약
분류 | 주요 종목 | 특징 |
건기식 제조/판매 | 뉴트리, 팜스빌, 에이치피오, 콜마비앤에이치 등 | 자체 브랜드 기반 B2C 사업 |
OEM/ODM 전문 | 코스맥스엔비티, 콜마비앤에이치 | 고객사 위탁 제조 |
프로바이오틱스 중심 | 비피도, 셀바이오텍 | 유산균 및 장건강 중심 제품 |
제약 기반 진출 | HK이노엔, 종근당홀딩스, 아이진 등 | 제약기술과 원료를 활용 |
원료 및 소재 개발 | 케어젠, 서흥, 아미코젠 등 | 건강기능소재 B2B 공급 |
종합 소비재·바이오기업 | LG생활건강, KT&G, DXVX | 건기식 포함한 융복합 사업 |
건강기능식품 테마는 계절성을 타는 면이 적고, 인구 고령화 및 예방의학 트렌드의 확산에 따라 중장기 성장성이 유효한 테마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만 기업 간 사업 구조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브랜드력, 원료 개발 능력, 해외 매출 비중 등을 개별 종목 선정 시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