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영화 테마주에 대한 설명과 관련주들에 대하여...

    작은연못 7 회 2025-06-20

  • 영화 테마주는 영화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영화 콘텐츠의 제작, 유통, 상영, 투자, 기술 지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영화 산업 생태계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이 테마는 일반적으로 극장 관객 수 증가, 대작 영화 흥행, 정부의 콘텐츠 지원 정책, 해외 수출 호조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움직이게 됩니다. 다음은 영화 테마에 대한 설명과 함께 주요 관련 종목들의 연관성을 살펴본 내용입니다.

     

    영화 테마는 영화 콘텐츠의 제작·투자·배급·상영·기술 지원 등 다양한 영역에 걸친 기업들이 포함됩니다. 이 테마는 단순히 영화 상영사뿐만 아니라 영화 제작사, 콘텐츠 투자사, 후반작업 및 특수효과 전문기업, 극장 체인 등 전체 밸류체인에 걸친 기업들의 움직임을 반영합니다. 특히 한국 영화의 해외 진출, OTT 서비스와의 시너지, 코로나19 이후 극장 관람 회복 기대 등이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모멘텀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관련 종목과 테마 연관성 설명

     

    ■ CJ CGV

    대한민국 최대의 멀티플렉스 극장 체인으로, 국내외에서 영화 상영 사업을 영위합니다. 영화 관람 수요 증가나 대작 영화 개봉 시 가장 직접적인 수혜를 받는 종목입니다.

    ■ CJ ENM

    종합 콘텐츠 기업으로, 영화 제작 및 배급을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기생충', '공조' 등 흥행작 투자로 수익을 거둔 바 있으며, 드라마와 예능뿐 아니라 영화 콘텐츠 분야에서도 강력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NEW(Next Entertainment World)

    영화 투자·배급 전문 기업으로, '부산행', '변호인' 등의 흥행작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높였습니다. 독립적인 콘텐츠 투자 및 유통사로서 영화 산업 내 직접적인 플레이어입니다.

    ■ 덱스터

    영화 및 드라마 후반 작업(VFX, CGI) 전문 기업입니다. '신과 함께' 시리즈를 포함한 대작 영화의 시각특수효과를 담당하며, 고퀄리티 CG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영화 산업 내 기술지원 측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롯데쇼핑

    롯데시네마를 통해 영화 상영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백화점, 마트, 슈퍼 등 리테일 부문 외에도 콘텐츠 산업 내 유통 채널 역할을 담당합니다. 영화 상영 실적이 매출에 일부 반영됩니다.

    ■ 바른손

    영화 콘텐츠 투자 및 제작 사업을 진행하는 회사로, 과거 영화 '기생충'의 제작 참여로 주목받았습니다. 영화 외에도 IT 관련 사업이 있으나, 콘텐츠 부문이 시장에서 테마 연결 포인트입니다.

    ■ 바른손이앤에이

    바른손의 콘텐츠 전문 자회사로, 영화 제작 및 배급에 집중합니다. ‘기생충’ 제작을 맡았던 핵심 기업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익구조는 변동성이 크지만 흥행작 등장 시 급등 가능성이 있습니다.

    ■ 쇼박스

    오랜 전통의 영화 투자·배급 전문 기업으로, ‘타짜’, ‘관상’, ‘암살’ 등 여러 흥행작을 배출했습니다. 대중성과 작품성을 겸비한 콘텐츠 제작에 집중하고 있으며, 테마 내 핵심 종목 중 하나입니다.

    ■ 쎄니트

    건축자재 회사이지만 과거 콘텐츠 투자 및 영화 제작 자회인 ‘쎄니트픽처스’를 통해 영화 산업과 연결된 이력이 있으며, 시장에서는 기대감 또는 과거 연관성을 바탕으로 테마주로 편입되곤 합니다.

    ■ 아센디오

    영화, 드라마, 음악 콘텐츠 제작을 하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콘텐츠 투자 및 IP 확장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BTS 콘텐츠 제작에도 간접적으로 참여하며 주목을 받은 바 있습니다.

    ■ 콘텐트리중앙

    중앙일보 계열의 종합 콘텐츠 회사로, 영화 및 드라마 제작 자회사인 ‘메가박스중앙(플러스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영화 투자 및 배급뿐 아니라 메가박스를 통한 상영 부문까지 영화 전반에 걸쳐 사업을 영위합니다.

    ■ 포바이포

    VFX 및 영상 콘텐츠 후반작업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덱스터와 유사하게 영화 CG 및 특수효과 부문에서 활동합니다. 최근에는 메타버스 콘텐츠와의 연계 사업도 확대 중입니다.

     

    3. 정리

     

    구분종목역할/포지션
    영화 상영CJ CGV, 롯데쇼핑, 콘텐트리중앙(메가박스)멀티플렉스 체인 운영
    제작 및 배급CJ ENM, NEW, 쇼박스, 아센디오, 바른손, 바른손이앤에이영화 제작·투자·배급
    후반작업(VFX)덱스터, 포바이포CG 및 특수효과, 후반작업
    기타 연관쎄니트과거 콘텐츠 사업 진출 이력으로 테마 연동

     

     

    이와 같이 영화 테마주는 콘텐츠의 흥행성과 직결된 민감한 산업 구조 속에서, 특정 영화의 흥행, 관객수 회복, 해외 콘텐츠 수출, 정책 지원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수급이 집중되며 테마가 형성됩니다. 이러한 구조를 파악하고 종목별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투자 판단에 중요한 기준이 될 것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