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가상현실 테마 개요와 관련종목들

    작은연못 13 회 2025-06-24

  •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테마는 사용자가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 몰입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기술과 관련된 산업 전반을 포괄합니다.

     

    이 테마는 하드웨어(디스플레이, 센서, 기기), 소프트웨어(콘텐츠 제작, 엔진, 플랫폼), 그리고 콘텐츠(게임, 영화, 교육, 시뮬레이션 등)로 구성되며, 최근에는 메타버스, 혼합현실(MR), 증강현실(AR) 기술과도 긴밀히 연계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각 종목들이 가상현실 테마에 속하게 된 이유를 기반으로 관련성을 분류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 VR 콘텐츠 및 플랫폼 개발 관련 종목

    • 데브시스터즈: 캐릭터 기반 게임을 중심으로 IP 확장에 적극적인 기업으로, 향후 메타버스형 VR 게임 콘텐츠로 확장할 가능성을 보이고 있음.
    • 한빛소프트: 과거부터 VR 피트니스 콘텐츠 ‘한빛 VR’ 등을 개발하며, VR 기반 운동 콘텐츠 사업에 진출.
    • 위지윅스튜디오: 영화 및 영상 VFX, 실감 콘텐츠 제작 역량이 우수하며, 메타버스·VR 기반 콘텐츠 제작 확장 중.
    • 바른손이앤에이: 영화 및 콘텐츠 투자·제작사로, 위지윅스튜디오와 협업 구조 속에서 VR 콘텐츠 사업 참여 가능성 존재.
    • 스코넥: VR 기반 방위산업 훈련 시스템 및 VR 게임 개발을 병행. 가상현실 게임 분야의 선도적 기업.
    • E8: VR 기반 콘텐츠 및 교육, 문화 서비스 확장을 위한 시도 중.

     

    2. VR 하드웨어 및 부품 제조 관련 종목

    • 삼성전자: 스마트폰과 VR 기기(Gear VR 등) 직접 생산 경험 보유. 최근 XR 디바이스 개발에도 주력 중.
    • 세코닉스: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술 전문 업체로, VR 디바이스용 광학부품 공급 가능성 있음.
    • 동운아나텍: 광학 이미지 센서 구동칩(VCM Driver)을 생산하며, VR 및 AR 기기의 카메라 시스템과 연관됨.
    • 라온텍: 초소형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전문 기업으로, AR/VR 디바이스에 필수적인 부품 공급.
    • 이랜텍: 배터리 팩 및 전자부품 공급사로, 웨어러블 VR기기용 배터리 적용 가능.
    • 케이이엠텍: 전자부품 및 커넥터 제조로, VR기기 내부 부품의 연계 가능성이 있음.
    • 큐에스아이: 적외선 센서, 광학 센서 제조업체로 VR기기 내 위치 추적 센서, 거리 감지 기술에 응용됨.

     

    3. VR 시뮬레이션 및 엔지니어링 관련 종목

    • 이노시뮬레이션: 자동차, 군사, 산업용 VR 시뮬레이터 제작 전문 기업. 산업훈련, 가상훈련 분야에서 강점.
    • 신도기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외에도, 시뮬레이션 장비 제작 경험이 있어 확장 가능성 존재.
    • 시공테크: 전시시설 및 콘텐츠 제작사로, 박물관·체험관 등에서 VR 체험존을 구현하는 사업을 수행함.
    • 토탈소프트: 항만, 선박 관련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제작하며, 가상훈련 및 시뮬레이션 분야와 직접 연관됨.
    • 제이씨현시스템: HTC Vive VR기기 국내 유통업체로, VR기기 도입 및 관련 시스템 구축 전문성을 보유.

     

    4. 메타버스·AI·XR 연계 기술 기업

    • SOOP, 나무가: 메타버스 기반 캐릭터 AI 및 가상인간 기술을 보유, VR 환경에서의 실시간 인터랙션 기반 기술과 연계됨.
    • 칩스앤미디어: 고화질 영상처리 IP(지적재산권) 보유 기업으로, VR에서 요구되는 고화질 영상 처리에 적용됨.
    • 케이쓰리아이: AI 기반 영상인식 및 시각지능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VR 환경 내 인터랙션 기술에 활용 가능.
    • 하이버젼시스템: 고성능 컴퓨터 비전 솔루션과 연결되며, VR 환경에서의 객체 추적, 제스처 인식 등에 활용됨.

     

    5. 기타 연관 산업

    • 덱스터: 영화 VFX와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제작에 능한 기업으로, 메타버스/VR 영화나 시네마틱 콘텐츠 개발 가능.
    • 에스넷, 에스코넥, 에스피지: 네트워크 및 하드웨어 솔루션을 제공하며, VR 인프라와 관련된 기반 기술을 보유함.
    • 링크드: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계된 플랫폼 개발 및 관련 하드웨어의 설계·생산 가능성.
    • LG전자: 과거 VR HMD(VR 기기) 개발 경험과 함께, AR/VR 관련 글로벌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플랫폼 확장 중.

     

    이처럼 가상현실 테마는 단일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콘텐츠 제작부터 하드웨어, 인프라, 시뮬레이션, AI, 센서 기술까지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융합되는 종합 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상기 종목들은 각자의 기술력과 사업 포트폴리오에 따라 VR 생태계의 다양한 축을 형성하며, 메타버스 시장의 성장과 함께 더욱 부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