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건강기능식품 테마 급등기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8 회 2025-06-24

  • 

    건강기능식품 테마는 과거 몇 차례 강한 급등 흐름을 나타낸 적이 있으며, 그 시기마다 시장의 이슈, 소비 트렌드, 정부 정책 변화 등에 따라 주도주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면역력 강화, 갱년기 건강, 다이어트, 장 건강, 숙취해소 등이 급등 이슈의 중심이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원료 또는 브랜드를 보유한 기업들이 시장을 선도하는 대장주 역할을 하였습니다.

     

    1. 2015년~2016년: 갱년기·식물성 기능성 원료 테마 급등기

    주도 이슈: 내츄럴엔도텍의 식물성 여성 갱년기 개선 기능 원료 '엘라그산'이 주목을 받으며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 자체에 대한 관심이 폭발하였던 시기였습니다.

     

    대장주: 내츄럴엔도텍

    식약처 인증 원료 기반 여성 갱년기 건강식품 붐

    ‘백수오’ 사태 이전까지는 대장주로 각광받았으나, 이후 원료 성분 논란으로 급락

     

    주도주: 셀바이오텍, 노바렉스, 비피도

    장 건강, 다이어트 관련 유산균 원료 기업으로 함께 부각

    특징: 건강기능식품이 ‘약이 아닌 기능성 대체품’으로 주목받으며 원료 중심의 기업들이 급등한 사례였습니다.

    출처 입력

     

    2.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과 면역력 강화 이슈

    주도 이슈: 코로나19로 면역력, 항산화, 항바이러스 기능성 식품에 대한 대중 수요 폭증. 비타민, 프로바이오틱스, 홍삼 제품 수요가 동반 상승하였습니다.

     

    대장주: HK이노엔, 비피도, 셀바이오텍

    HK이노엔: ‘컨디션’ 숙취 해소음료 외에도 면역력 관련 제품군 확대

    비피도·셀바이오텍: 프로바이오틱스 원료 및 건기식 ODM 생산

     

    주도주: 에이치피오, 콜마비앤에이치, 뉴트리, 팜스빌

    온라인 중심으로 다이어트 및 면역 제품이 판매 급증

    ‘정관장’, ‘리튠’, ‘덴프스’, ‘이너셋’ 등 브랜드와 연결된 소비 심리 강화

    특징: OEM/ODM 생산 능력이 우수한 기업들과 면역력 마케팅이 가능한 브랜드 보유사가 주도함. 해외 수출 증가도 투자심리를 자극함.

    출처 입력

     

    3. 2021년 상반기: 중국 수출·이너뷰티·MZ세대 웰빙 붐

    주도 이슈: 이너뷰티, 항산화, 미용 중심의 건강기능식품이 유행하며 ‘뷰티푸드’ 개념이 정착됨. 동시에 중국향 수출 기대감도 주가에 반영됨.

     

    대장주: 에이치피오

    ‘덴프스(Denps)’ 브랜드가 중국 및 북유럽에서 인기를 얻으며 실적 급증

     

    주도주: 뉴트리, 콜마비앤에이치, 노바렉스

    뷰티 관련 건기식 OEM을 다수 확보한 상태로 강한 매출 증가

    ‘이너뷰티 원료’에 대한 시장 재조명

    특징: 미용 중심의 고가 프리미엄 건기식이 부각되며 글로벌 브랜드화 가능성을 보인 기업들이 급등하였음.

    출처 입력

     

    4. 2023년~2024년: 고령화·마이크로바이옴·해외 진출 이슈 재부각

    주도 이슈: 고령화에 따른 장 건강, 뇌 건강, 항노화 관련 제품의 수요 증가. 동시에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원료 기업이 주목받기 시작.

     

    대장주: 셀바이오텍, 비피도, 노바렉스

    고기능성 유산균 원료 및 발효 기술 기반 수출 실적 확대

     

    주도주: 에이치엘사이언스, 아미코젠, 종근당바이오

    소재 기술력, 기능성 인증, 해외 진출을 두루 갖춘 중소형 종목이 강세

    특징: 기존의 단순 유통·판매가 아닌 기술 기반의 고도화된 건기식 기업이 주도세를 형성함.

    출처 입력

     

    정리: 시기별 대장주·주도주 변화 요약

     

    시기대장주주요 주도주주요 테마
    2015~2016내츄럴엔도텍셀바이오텍, 비피도, 노바렉스여성 건강, 원료 중심
    2020HK이노엔비피도, 콜마비앤에이치, 뉴트리면역력, 유산균
    2021에이치피오뉴트리, 노바렉스, 콜마비앤에이치이너뷰티, 중국 수출
    2023~2024셀바이오텍아미코젠, 종근당바이오, 에이치엘사이언스마이크로바이옴, 항노화

     

     

    건강기능식품 테마는 단순히 ‘헬스케어’ 범주에 묶기 어려운 복합 트렌드 기반의 산업이며, 주도주의 변화는 소비자 트렌드 변화와 직결됩니다.

     

    원료 기반 → 브랜드 중심 → 기술 기반으로 주도주의 성격이 변화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정밀건강(Precision Health), 마이크로바이옴, 개인 맞춤형 건기식 등이 새로운 급등기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