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테마는 친환경 정책, 글로벌 탄소중립 이슈, 수소경제 활성화 전략 등이 발표될 때마다 시장의 관심을 받으며 급등한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특히 2019년 이후부터 몇 차례에 걸쳐 강력한 테마 랠리가 발생하였으며, 그때마다 대장주와 주도주는 시기별로 교체되어 왔습니다.
다음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수소차 테마의 급등 시기별 대장주 및 주도주 변화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1차 급등기: 2019년 1월 ~ 3월
배경: 문재인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2019.01.17)
- 대장주:
- 일진다이아: 수소차 연료탱크용 탄소섬유 복합소재 공급 관련주로, 당시 가장 강력한 상한가 랠리 주도
- 에스퓨얼셀: 연료전지 전문 기업으로 로드맵 발표 직후 상한가를 기록하며 수소 관련 대표주로 부상
- 주도주:
- 유니크: 수소차용 감압밸브 생산, 중소형 부품주 중 상승률 상위
- 상아프론테크: 연료전지 분리막 관련 기술 부각
- 풍국주정: 수소 생산 및 저장 부문에서 연료 공급 관련주로 강세
2차 급등기: 2020년 6월 ~ 9월
배경: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 발표 및 현대차의 수소 비전 강화 발표
- 대장주:
- 두산퓨얼셀: 두산그룹의 연료전지 사업 부각, 상장 직후부터 지속적 급등
- 일진하이솔루스(당시 비상장사, 상장 기대감 반영): 고압 수소탱크 개발로 시장의 높은 주목
- 주도주:
- 현대차: 넥쏘 및 수소 상용차 비전 발표
- 한화솔루션: 수소 생산·저장 시스템 구축 이슈로 수소 인프라 대표주로 급부상
- 삼기: 연료전지용 부품 생산 부각
- 디케이락: 수소차용 피팅·밸브 공급으로 매수세 집중
3차 급등기: 2021년 1월 ~ 2월
배경: 현대차그룹의 ‘수소 비전 2040’ 발표 및 수소차 산업 정책 강화 기대감
- 대장주:
- 현대차: 수소 상용차 시장 진출 및 글로벌 전략 발표
- 에스퓨얼셀: 연료전지 관련 모멘텀 지속
- 주도주:
- 상아프론테크: 연료전지 분리판 수요 증가 기대
- 비나텍: 연료전지 전극 및 수퍼커패시터 생산 이슈
- 한온시스템: 수소차 열관리 기술 부각
- 에코바이오: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 생산 모델 부각
4차 급등기: 2021년 8월 ~ 9월
배경: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발표 및 현대차의 '하이드로젠 웨이브' 행사
- 대장주:
- 일진하이솔루스: 수소탱크 전문기업으로 상장(2021.09), 상장 직후 연일 급등
- 현대차: 수소트럭, 수소항공모빌리티 관련 기술 공개
- 주도주:
- 코오롱인더: 수소차용 멤브레인 소재 공급 이슈 부각
- 효성첨단소재: 수소탱크용 탄소섬유 독점 공급 부각
- 디아이티, 삼기, 유니크: 수소차 밸브 및 전장 부품 수혜 기대주로 주목
5차 급등기: 2023년 5월 ~ 6월
배경: 일본·한국·유럽 수소 인프라 투자 발표, IRA(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수소 인센티브 영향
- 대장주:
- 효성첨단소재: 미국 및 유럽 수소 관련 탄소섬유 수요 급증 기대
- 두산퓨얼셀: 수소발전 의무화 정책(PPS)에 따른 수혜 전망 강화
- 주도주:
- 유일에너테크: 수소 연료전지 전극판 공급사로 부각
- 코오롱ENP: 연료전지 멤브레인 소재 확대 생산
- 미코: 연료전지 스택 및 부품 관련 매출 증가 전망
대장주·주도주 변화 흐름표
시기 | 대장주 | 주도주 (보조 상승 주체) |
2019.1~3 | 일진다이아, 에스퓨얼셀 | 유니크, 상아프론테크, 풍국주정 |
2020.6~9 | 두산퓨얼셀, 현대차 | 한화솔루션, 디케이락, 삼기 |
2021.1~2 | 현대차, 에스퓨얼셀 | 상아프론테크, 비나텍, 한온시스템 |
2021.8~9 | 일진하이솔루스, 현대차 | 효성첨단소재, 코오롱인더, 디아이티 |
2023.5~6 | 효성첨단소재, 두산퓨얼셀 | 유일에너테크, 코오롱ENP, 미코 |
수소차 테마는 글로벌 정책과 에너지 전환 흐름에 따라 재차 주목받는 특성이 강합니다. 대장주 교체는 정책 수혜 기대주(예: 두산퓨얼셀)에서 기술 상장 신흥 강자(예: 일진하이솔루스) 또는 핵심 소재 독점공급자(예: 효성첨단소재)로 순환되는 구조를 보이며, 이를 파악하는 것이 테마 대응의 핵심 전략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