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페이지
  • 게시판
  • 테마정보
  • 테마별 종목

테마와 종목 선정 이유

  • 과거/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 테마 급등기 대장주와 주도주 변화

    작은연못 5 회 2025-06-25

  •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 테마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 변화, 전력 수요 대응,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추진과 맞물려 주기적으로 주목받아왔으며, 다음과 같은 급등기 시기마다 대장주와 주도주가 부각되어 강세를 보인 바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대표적인 3개 급등기 시기를 중심으로 각 시기별 흐름을 정리하였습니다.

     

    1차 급등기: 2009년 ~ 2010년

    배경: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조성 (제주도 구좌읍) 발표

    정책 발표 시점: 2009년 6월 '스마트그리드 로드맵 2030' 발표

    테마 상승 시기: 2009년 하반기 ~ 2010년 초

     

    대장주:

    누리텔레콤 (現 누리플렉스)

    스마트미터, AMI 기술 보유. 정부 실증사업에 직접 참여하면서 시장 주목.

     

    주도주:

    옴니시스템: 스마트 계량기 공급 실적 부각

    비츠로셀: 스마트미터용 전지 공급 부각

    일진전기: 전력선 및 전력장비 공급사로서 테마 수혜

    당시엔 '녹색성장', '스마트 시티'와 결합된 종합 인프라 개념으로 주목을 받으며 단기 급등이 나타났습니다.

    출처 입력

     

    2차 급등기: 2016년 ~ 2017년

    배경: 한전의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본격화와 함께, 정부가 ‘에너지 신산업’ 육성 추진

    핵심 이벤트: 2016년 한전, 17조 원 규모 스마트그리드 확산계획 발표

    테마 상승 시기: 2016년 하반기 ~ 2017년 중반

     

    대장주:

    LS ELECTRIC (구 LS산전)

    스마트배전기기,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 스마트그리드 종합솔루션 제공사로 각광 받음.

     

    주도주:

    서전기전: 변압기 수요 급증 기대감

    아모그린텍: 전류센서 기술 부각

    코콤: 스마트홈 연계형 전력계측 기술 부각

    지투파워: 변전소 자동화 장비 수혜주로 부각

    이 시기엔 특히 한전 중심의 'AMI 구축사업'과 '변전설비 자동화'가 시장 기대를 키우며 기술력 있는 부품주들이 주도권을 잡았습니다.

    출처 입력

     

    3차 급등기: 2021년 ~ 2022년

    배경: 문재인 정부의 ‘탄소중립 2050’ 정책, 디지털 뉴딜과 전력망 고도화 계획 발표

    핵심 이벤트:

    2020년~2021년 한국형 뉴딜 정책

    2022년 한전 중심의 전력 계통 디지털화 계획 발표

    테마 상승 시기: 2021년 초 ~ 2022년 상반기

     

    대장주:

    포스코DX (구 포스코ICT)

    스마트팩토리 + 스마트그리드 융합 플랫폼 구축. 전력 AI 제어 기술 부각

     

    주도주:

    비츠로셀: 리튬전지 생산능력 확대, 전력 계량기 교체 수요와 맞물려 급등

    스맥: 스마트 팩토리, 전력 제어 분야에서 정책 수혜 기대

    피엔씨테크: 에너지 관리 시스템 기술 보유 기업으로 부각

    아이앤씨: 스마트미터 교체 수요로 인한 실적 개선 기대

    당시에는 ‘에너지 디지털화’와 ‘탄소중립’이라는 중장기 키워드가 작용하면서 단발성 급등이 아닌 장기적 상승 흐름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었습니다.

    출처 입력

     

    시기별 대장주 요약

     

    시기주요 정책대장주주도주
    2009~2010녹색성장, 실증단지 조성누리플렉스옴니시스템, 비츠로셀
    2016~2017한전 스마트그리드 확산LS ELECTRIC서전기전, 아모그린텍
    2021~2022탄소중립, 디지털뉴딜포스코DX비츠로셀, 스맥, 피엔씨테크

     

    스마트그리드 테마는 정책 주도형 테마로 분류되며, 주요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반복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장주는 시기에 따라 변했으나, 누리플렉스, LS ELECTRIC, 포스코DX는 각 시기마다 중심축 역할을 하였고, 옴니시스템, 비츠로셀, 아모그린텍 등은 중소형 강세 주도주로 반복적으로 부각되었습니다.

     

    이 테마는 향후에도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재생에너지 연계, AI 기반 전력 예측 시스템 확대와 같은 변화에 따라 또 한 번 주목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중장기 유망 테마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