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행 (JB금융지주) (175330) 한덕수 총리가 전북 전주 출신이며, 지역 기반 금융사로 지역 연관성 테마.
전북에너지 (전북도시가스 비상장, 유사 기업은 서울가스 등) (서울가스 017390) 전북 연고지 기반 에너지 관련 기업과 간접적 연관.
효성중공업 (298040)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시절, 중공업·수소경제 육성 관련 발언과 친기업 정책 방향성에 의해 수혜 기대주로 언급됨.
포스코홀딩스 (005490) 산업계 전반의 친기업 정책 기대감에서 수혜주로 분류되며, 한덕수 총리의 산업 정책 방향과 부합.
현대건설 (000720) SOC 확장, 인프라 투자 확대 기대감. 과거 국무총리 재직 시절에도 인프라 확장 기조.
대우건설 (047040) 마찬가지로 SOC 테마 및 친기업 정책 기대감에 따른 건설주 수혜 기대.
LS ELECTRIC (010120) 스마트그리드 및 에너지 산업과 관련해 과거 산업 정책과의 부합으로 엮임.
LG이노텍 (011070) 과거 총리 시절 ICT 및 부품소재 산업 육성 언급. 기술 고도화 정책 기대감.
OCI홀딩스 (010060) 태양광/에너지 등 친환경 관련 산업. 산업정책 테마주 편입.
대한전선 (001440) 전력 인프라 확충 기대. SOC 및 에너지 정책 기대감.
서울가스 (017390) 전북 지역 기반 도시가스 사업자와 유사 업종. 전북 지역 에너지 인프라 확대 기대.
시공테크 (020710) 과거 한덕수 총리가 회장으로 있었던 무역협회 전시관 조성 사업과 관련해 전시 인테리어 분야의 대표기업이라는 점에서 연관 추정. 정부 발주 인테리어 사업 수혜 기대감으로 테마 편입.
아이스크림에듀 (289010) 교육 플랫폼 기업. 한덕수 총리가 교육 격차 해소 및 디지털 교육 확대를 강조한 바 있으며, 정책 기대감에 의해 관련주로 언급됨.
일정실업 (008500) 전북 익산에 본사가 있음. 한덕수 총리가 전북 전주 출신이라는 지역 연고 테마로 편입. 또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가족 연관 루머가 있었으나 공식 근거는 없음.
대한제당 (001790) 과거 한덕수 총리가 산업부 장관 시절 식품가공업 진흥정책을 언급했었고, 대한제당은 전북 김제공장 보유. 식품 정책 기대감 + 지역 기반 연계 테마로 엮임.
태영건설 (009410) SOC 및 도시재생사업 관련 테마. 한덕수 총리의 건설/인프라 투자 확대 기조에 따른 정책 수혜 기대로 편입.
대성창투 (027830) 벤처 투자사. 한덕수 총리가 혁신성장과 창업활성화를 강조해왔고, 정책 수혜 기대감에 따라 대표적 창투사로 테마 편입됨.
간접 테마 형성군
FTA 수혜주 한덕수는 통상교섭본부장으로 한미 FTA 체결을 주도. 이에 따라 **자유무역 수혜주(예: 자동차, 철강, 해운)**가 간접적으로 언급됨.
전북 지역 개발 총리 임명 이후 전북 지역 균형 발전 정책 기대감이 일부 반영되어 전북 기반 중소형 건설사, 금융사 등의 관심 증가.
관료 출신 정책 수혜주 과거 경제부처 출신 인물로서 친시장적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정책 민감 업종(예: 제약, 금융, 건설) 중심의 순환 테마 형성 가능.
한덕수 총리 주요 이력 요약
1949년 출생 전라북도 전주 출신
1970년 행정고시 합격 경제기획원에 입부 (현 기획재정부)
1982~1984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경제학 박사 해외 유학 후 경제관료로 복귀
1997년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 김영삼 정부 말기 외환위기 당시 청와대 요직
2000년 통상교섭본부장 한·칠레 FTA 체결 및 WTO 협상 주도
2001년 재정경제부 장관 김대중 정부 당시, 경제 안정화 정책 주도
2004~2005년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노무현 정부 시절 정책조율 핵심 역할
2005~2006년 국무조정실장 정부 부처 정책 통합·조율 담당
2007년 제38대 국무총리 (1차) 노무현 정부에서 총리직 수행 (2007.4~2008.2)
2009~2012년 주미대사 이명박 정부 시절 한미동맹 및 외교 관계 강화
이후~2021년 고려대 석좌교수, 무역협회장 등 민간·학계 활동 중심
2022년~현재 제48대 국무총리 (2차) 윤석열 정부에서 총리로 재기용 (2022.5~ )